earticle

논문검색

우리나라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한ㆍ일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Improvement Study of Environmental Reporting Guidelines in Korea - Based on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 Environmental Reporting Guidelines -

전영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Reporting Guidelines 2007 in Korea.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this study compared Korean Environmental Reporting Guidelines with that of the Japanese which were revised and published in 2007, and reviewed the existing relevant literatur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aspects of form, to systemize open items, Korean environmental reporting guidelines needs to integrate outline with environmental vision and strategy, and should categorize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icators into management, operational and eco-efficiency performance indicators. Second, from the aspects of contents, Korean environmental reporting guidelines should insult Social performance indicators which reflects enterprises social responsibility, and also supplement contents of appendix. Especially, appendix needs to present how to distinguish main stakeholders and grasp their desire to reflect it into the guidelines. Third, from the aspects of system, for environmental reporting guidelines to improve and complement continuously, a revision committee, which is consist of academic, practical and official specialists, needs to be made. Also, to higher the reliability of environmental reports, a system of verification by the third part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train for professionals who are capable of verification is urgen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2007년에 개정 공표된 한국과 일본의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을 비교 검토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우리나라의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의 개선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 관련 국내외 문헌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의 개선을 위한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적인 면에서 공개항목의 체계화를 위해 개요와 환경 비전 및 전략을 통합하고, 환경성과지표를 경영성과지표, 운영성과지표, 효율성과지표로 분류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내용적인 면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반영하는 사회적 성과지표 항목을 삽입하고, 부록의 내용도 보강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주요 이해관계자를 식별하고 그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는 방법 등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제도적인 면에서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의 지속적 개선․보완을 위해 학계, 실무계, 관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환경보고서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제3자 검증제도를 확립하고 이를 위한 전문 인력의 양성이 시급하다.

목차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과 내용
 Ⅱ. 이론적 배경
  1.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의 의의와 필요성
  2.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의 유형
  3. GRI의 지속가능성 보고서 가이드라인
 Ⅲ. 한국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
  1.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의 개정
  2. 환경보고서의 개요
  3. 환경보고서의 작성
  4. 환경보고서의 내용
 Ⅳ. 일본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
  1. 서장
  2. 환경보고서란 무엇인가(제1장)
  3. 환경보고 기재항목(제2장)
  4. 환경보고에서의 개별 정보․지표(제3장)
  5. 사회적 대응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지표(제4장)
  6. 환경보고의 충실을 위한 향후 과제(제5장)
  7. 참고자료
 Ⅴ. 한․일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의 비교
  1. 한․일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의 공통점
  2. 한․일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의 차이점
  3. 한국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의 개선점
 Ⅵ.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영승 Cheon, Young Seung. 상지대학교 회계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