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t is the 5th examination this year since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has been newly created at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in 2005.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introduced in the research field is greatly helpful for the national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o go on to 4-year universities. Also, the completion of evaluation questions has been rapidly improved in comparison to the history of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so it stands comparison with other evaluation questions of other research fields.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of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is to evaluate․measure the general thinking power of examinees in the aspect of behavior field on the dual classification table so proper evaluation questions are presented to accomplish this object.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evaluation questions in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to the achievement standard at the national level to be proper on the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and to contribute to the norm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This study compares the national-level achievement standard of accounting principle with the content field of accounting principle question in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of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and analyses the suitability to assay their coincidence for this object. Through this study course, I propose the plan to improve evaluation questions of accounting principle in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As a research result, the suitability of the national-level achievement standard of the accounting principle and the question content field of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in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is relatively high to be 91.7%, which showed that the questions are properly presented by reflecting the national-level achievement standard. However, while the number of questions to evaluate the achievement standard related to products is 20 questions, no question on 12 achievement standards including accounts procedures. Therefore, the guide to give questions should be modified․complemented to consider more national-level achievement standard in the evaluation questions of accounting principle subject, and prior training should be carried out for examiners to understand it so they can make evaluation questions of higher quality. As a remedy, it is necessary to exert efforts to consistently improve the coincidence of the national-level achievement standard and the question content field. Terminology: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occupational research field, accounting principle, achievement standard, evaluation questions
한국어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직업탐구영역이 신설 되어 처음 실시된 이래 올해로 5회째 실시를 맞이하게 된다. 탐구영역에 도입된 직업탐구영역은 동일계 특별전형 입시제도와 더불어 진국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4년제 대학진학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직업탐구영역의 역사에 비해 평가문항의 완성도는 급속하게 향상되어 여타 탐구영역의 평가문항과 완성도를 비교하여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질적으로 좋은 문항들이 출제되고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은 이원분류표상 행동영역 측면에서 피험자들의 종합적인 사고능력을 평가 ․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을 이룰 수 있는데 적절한 평가문항들이 출제되고 있다. 반면에 내용영역 측면에서 직업탐구영역의 평가문항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적합하고 학교 현장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는 국가수준 성취기준에 얼마나 부합되는가를 검토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회계원리의 국가수준 성취기준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회계원리 평가문항의 내용영역을 비교하여 양자 간의 부합정도를 분석할 수 있는 적합도를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직업탐구영역 회계원리 평가문항에 대한 출제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회계원리의 국가수준 성취기준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평가문항 내용영역 적합도는 91.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남으로써 국가수준 성취기준을 잘 반영하여 출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품과 관련된 성취기준을 평가 측정하는 평가문항은 20문항 이상인데 비하여, 결산과정을 포함한 총 12개의 성취기준은 한 개의 평가문항도 출제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회계원리 과목의 평가문항이 국가수준 성취기준을 좀 더 고려하여 출제가 이루어지도록 평가문항 출제지침이 수정․보완되어야 하며, 출제위원들에게 이러한 점을 주지하도록 사전교육을 실시하여 보다 질 높은 양질의 평가문항이 출제되도록 힘써야 한다.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가장 적합한 방법은 국가수준 성취기준과 평가문항 출제 내용영역간의 적합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나가는 것이다. 끝으로 적합도 분석의 시사점을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직업탐구영역과 국가수준 성취기준
1.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성격
2. 국가수준 성취기준
Ⅲ. 회계원리의 성취기준과 평가문항 내용영역
1. 회계원리 교과목의 교육과정
Ⅳ. 회계원리 성취기준과 평가문항 내용영역의 적합도 분석
1. 성취기준과 평가문항 내용영역의 적합도 분석
2. 회계원리 본 수능 평가문항에 대한 적합도 분석
3. 직업탐구영역 회계원리 평가문항 적합도 분석의 시사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