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상업정보표시과목 임용고사 모형 개발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조사

원문정보

A Study on Basic Research for Developing a Model for Orientation of Commercial Information Display Subjects Teacher Examinations

황홍익, 김영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 of test models for setting in order to prepare for newly revised commercial information teachers appointment test in 200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mercial information teachers should be required highly sense of duty of teaching and consciousness (4.52) and professional knowledge of subject (4.49).
Second, Accounting Principles(4.69), Commercial Economy(4.66), and Management Principles (4.30) are be recognized relatively as basic completion subjects.
Thirdly, knowledge of the test, understanding, appling, and exploratory field in college entrance exams may be appropriate as behavioral areas of 1st multiple-choice questions.
Fourth,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courses and the middle level of college curriculum courses would be appropriate ranges. Difficulty level is appeared that current teacher exam is appropriate.
Fifth, the third round of tests (Aptitude faculty, in-depth interviews,
classroom skills assessment) in step-by-step test is seen as an important step of evaluation.
Sixth, the evaluation of lessons should be focused on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methods.
Through analyzing the real situations overall direction of the research was presented.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hoped that objective and clear detail criteria would be established.

한국어

본 연구는 2009학년도에 새로이 개정된 임용고사에 대비하여 상업정보 임용고사 평가모형 설정을 위한 실태분석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업정보교사가 갖추어야할 일반적인 자격기준에서는 교직의 사명감과 윤리의식(4.52), 교과에 대한 전문지식(4.49)을 높게 요구하고였다.
둘째, 기본이수과목 중에서 회계원리(4.69), 상업경제(4.66), 경영학원론(4.30)을 상대적으로 중요한 과목으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1차 객관식 선발을 위한 시험의 행동영역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지식, 이해, 적용, 탐구 영역으로 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험의 내용 범위는 상업계고등학교 교육과정과 대학 교육과정의 중간 수준의 문항으로 출제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인식하였다. 난이도는 형행 임용고사 수준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단계별 시험에서 3차 시험(교직적성, 심층면접, 수업능력평가)이 중요한 평가 단계로 보았다.
여섯째, 수업평가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야할 영역으로는 교과내용 지식 및 내용교수법 (30.9%)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현장의 실태분석을 통하여 전체적인 연구 방향을 제시하여 보았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단계별로 객관적이며 명확한 준거로 세부기준이 수립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초록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상업정보 표시과목 임용고사 고찰
  1. 임용고사의 변화
  2. 2009년 개정 중등교사 임용고사 평가 부문
 Ⅲ. 임용고사 각 평가 부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1. 조사 표본의 특성
  2. 조사 도구 개발 및 자료수집
  3. 평가 영역별 기초 조사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홍익 Hwang, Hong Eik.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상업정보교육학과 겸임교수
  • 김영춘 Kim, Yeoung Choon. 제주대학교 경상대학 무역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