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상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현황과 발전과제

원문정보

Recent Conditions & Development Tasks of Specialized Commercial High School

백운경, 이광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pecialized Commercial High School" has been being attracted as the type of an alternative high school in that it focused on the education for students' character, aptitude, talent and interest, not on uniformed one like giving the first consideration SAT or study achievements in school. Moreover, "SCHS(Specialized Commercial High School)" has been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by making it possible to do the professional job education for the competent similar students in talent and aptitude. It is why we expect to get the best brains through "SCHS". It has been ten years since Specialized High School began. Despite the long period, "SCHS"'s operation has been at most 20.2% until 2007, compared with other vocational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will be directed to find out the recent conditions & development tasks of " specialized commercial high school". I think we need not only the expansion of SCHS for the future high-tech industries , but also administrational and financial support for SCHS. Especially, we have to consider both SCHS's comprehensive policy and assess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present state with graduates of SCHS.

한국어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소질과 적성, 재능과 흥미에 부응하는 교육을 하고 있고, 성적위주ㆍ입시 위주로 획일화된 고등학교 교육에 대한 대안적인 학교유형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소질과 적성이 유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정 직업분야에 대한 교육을 전문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장차 그 분야의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 관련 산업의 발전에도 상당히 기여하고 있다. 특성화고등학교 제도가 시행된 지 10년이 지나고 있다. 상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지정․운영을 살펴보면 2007년까지 다른 직업교육분야에 비해 20.2%에 불과하다. 이에 상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최근 현황을 살펴보고 발전과제를 모색하고자 한다. 미래 정보산업에 필요한 상업계열 특성화고 등학교의 설립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행ㆍ재정 지원이 필요하며 졸업생이 배출되고 있는 시점에서 상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종합적인 정책과 교육과정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특성화고등학교의 설립 배경과 개념
  1. 특성화고등학교의 도입 배경과 개념
 Ⅲ. 직업교육분야 특성화고등학교의 현황과 문제
  1. 직업교육분야 특성화고등학교의 설립․운영 현황
  2. 설립 예정인 직업교육분야 특성화고등학교 현황
  3. 상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운영상 문제점
  4. 상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운영의 문제 해결방안
 Ⅳ. 상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발전과제
  1. 상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설립 확대
  2. 자율학교 지정 및 자율운영권 확대
  3. 행ㆍ재정 지원의 확대
  4.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평가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백운경 Back, Woon Kyeong. 공주대학교 대학원 상업정보교육학과 박사과정
  • 이광호 Lee, Kwang Ho.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상업정보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