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exciting contents formation in the Accounting Principle Textbook is make up by virtue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experts of the academy world. and in the scope of, The textbook is make up use of the various learning unit by the writers. But the authors have written to consult the position of student, in substance, have not constructed contents formation in the students position by the survey of performance satisfaction measurement.
This research have been a laboratory experiment about to be come satisfy of the learning performance for the students the form how to be line up a preface, learning object, learning contents, supplement learning, exercise etc.
The results, a preface and learning contents have presented to bring along learning performance that the description of visual form. The learning object and supplement learning have not been significant. The exercise has lied better than indicate of the question organization. The exercise form has resulted in improvement learning performance satisfaction of students make a various description form of use subjective together with objective test.
한국어
기존의 상업계 고등학교의 회계교과서 내용 구성 체계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학계의 전문가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그 틀의 범위 내에서 저자들에 의하여 다양한 학습단원 구성요소를 활용함으로써 교과서가 만들어 졌다. 저자들은 학생들의 입장을 고려하여 교과서 집필을 하였지만 실제적으로 학생들의 성과 만족도를 조사하여 학생들에 의한 내용체계를 구축하지는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의 학습단원 구성요소 중 머리말, 학습목표, 학습내용, 보충학습, 연습문제 등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야 학생들의 학습 성과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인가를 실증 검증하였다.
그 결과, 머리말은 시각적인 형태로 기술되는 것이 학생만족 인식에 유의적 영향을 나타냈으며, 학습목표의 경우에는 어떠한 기술형태도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습목표에 대하여는 학생들이 무관심하거나 상대적으로 학습내용에 더 많이 관심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학습내용을 설명하는 기술형태에서는 장문형태보다는 단문 요약식 기술과 그림, 흐름순서도 등의 시각적인 표현을 첨가하는 것이 학생만족 인식에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내용의 유형체계와 학생만족 인식 사이에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회계원리 교과서의 학습내용은 각 단원의 특징에 따라 이론, 문제, 기업사례 등이 다양하게 기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보충학습 형태에서는 모두 형태의 기술이 비유의적으로 나타나 보충학습은 저자의 필요에 따라 장문형태, 단문형태, 시각형태 등을 적절히 활용하면 될 것이다. 연습문제에서는 출제기관 표시하는 것이 더욱 학생만족 인식에 효과적일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습문제가 어느 곳에 배치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하여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연습문제의 형태는 주관식과 객관식이 혼용되어 다양하게 기술되는 것이 학생들의 학습만족 인식을 향상 시킬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모형의 설계
1. 가설의 설정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Ⅳ. 실증검증
1.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2. 가설검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