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egal and regulatory validity of the adoption of the “Cyber Insult Law” and the maintenance of the “False Information Dissemination Law.” It also seeks to find better alternatives to both of these legal measure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pertinent foreign cases. Focusing on the potentially significant chilling effect of the two laws on freedom of expression, the study explores how well the two laws are designed to serve the following two legal principles: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against overbroad regulation and the principle of the pursuit of provisional definitude. In regard to the “Cyber Insult Law”, the study found that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insult” in legal terms would inevitably lead to overbroad regulation. Compared to the “Insult Law in the Criminal Code”, the overbroadness of the “cyber insult law” is more problematic in that the substantially simplified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and strengthened OSP (Online Service Providers) liability will very likely result in the chronic spread of legal disputes on cyber insult in our society. Moreover, the newly imposed duty on OSPs to temporarily block an allegedly infringing message within 24 hours after the alleged victim’s notice could cause a serious chilling effect on valid criticism of public figures or issues through internet. The Cyberbullying law, which has so far been adopted by 19 states in the U.S., could serve as a better alternative in that (1) it is more narrowly tailored to deal with specific problematic behaviors in cyber space; (2) it is more focused on education and guidance of children and teens, who constitute the largest age group of victims and harmers of cyber flaming. An analysis of the “False Information Dissemination Law” reveals that the provision is unconstitutionally overbroad,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use of the concept of the “public interest” in a notoriously unspecific way. A Canadian Supreme Court case in 1992 (R. v. Jundel), which held a similar provision in the Canadian criminal code to be fatally unconstitutional, was used as a referral case for this study to argue the following: (1) Such a regulation can be used as a means to punish unpopular minority voices or ideas that governing bodies find distasteful or threatening; (2) Falsehoods are not themselves outside of constitutional protection; (3) False statements can sometimes have value in that truth can be better revealed and appreciated through the process of contending with falsity for prevalence; (4) Potential harm to an improperly defined public interest is not an object of protection that can counterbalance the clearly anticipated chilling effect on freedom of expression. The study admits that there may be certain types of false statements that can cause imminent and irreparable harm to the public interest. As a better alternative to the current “False Information Dissemination Law”, the study suggests that a law aimed to regulate such statements should be designed with sufficient particularities defining ”public harms.” For the discussion, the study used the FCC rule on the prevention of false broadcasting in 1991 as a referral cas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모욕죄 도입과 허위사실유포죄 유지의 법리적.정책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외국의 사례를 참조한 비교법적 분석을 통해 적절한 대안을 제시하려는 데 있다. 사이버모욕죄 입법안과 허위사실유포죄를 분석함에 있어, 이 두 법/법안이 표현의 자유에 미칠 심각한 위축효과에 주목하여, 명확성의 원칙과 과잉금지의 원칙에 얼마나 충실하게 법안이 설계되었는가 하는 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먼저, 사이버모욕죄 입법안의 가장 큰 문제점은 ‘모욕’의 법률적 개념의 모호성으로 인한 과잉규제의 가능성이라고 보았다. 과잉규제의 문제는, 기존의 형법상 모욕죄에 비해 사이버모욕죄의 경우에 더욱 심각한데 이는, 범죄구성요건의 불명확성과 비친고죄로의 전환, 온라인서비스제공자(OSP)의 조력을 통한 신고와 분쟁, 소(訴) 제기의 용이성의 결과로, 사이버모욕죄를 시행할 경우 우리 사회가 대대적이고 만성적인 분쟁상태로 빠져들 위험성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신고 후 24시간 안에 침해성 메시지를 차단하도록 새로이 OSP에게 부과될 의무는 정당하고 바람직한 정치.사회적 비판이 사회구성원간에 활발히 교류될 수 있는 여지를 심각하게 축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사이버모욕죄에 대한 대안으로, 미국의 여러 주가 도입한 사이버불링(Cyberbullying)법이 검토되었다. 그 이유는 (1) 기존의 법으로 규제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그 폐해가 심각하여 새로운 입법을 통하여 규제할 필요성이 큰 사이버상의 인격침해행위를 구체적으로 지정하여 보다 제한된 범주의 구체적 법을 설계할 수 있고 (2) 사이버상의 인격침해행위의 피해자와 가해자 중 가장 다수의 연령층을 형성하고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에 대한 교육과 선도에 주안점을 두었다는 점 때문이다. 허위사실유포죄의 문제 역시 ‘공익’의 구체적 정의와 ‘공익을 해할 허위의 사실’에 대한 명확한 규정의 부재로 인한 과잉규제 가능성에 있다. 1992년 캐나다 연방대법원의 캐나다 형법 제181조의 허위사실유포죄에 대한 위헌판결 법논리를 적용해 우리나라 허위사실유포죄 유지의 법리적.정책적 비타당성을 분석하고, 대안으로서, 1992년 FCC에 의해 제정된 “허위방송 금지법”을 검토한다. 허위방송금지법이 가장 크게 시사하는 바는, 표현의 자유를 일정 부분 제한할 수도 있는 법을 설계할 때는, 용어를 지극히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범죄구성요건을 가능한 한 구체적, 제한적으로 설정하여 과잉규제로 인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위축 가능성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목차
I. 연구배경과 목적
II. 사이버모욕죄 입법안 분석
1. 사이버모욕죄 입법안의 문제점 I: 범죄구성요건의 불명확성
2. 사이버모욕죄 입법안의 문제점 II: “사이버모욕죄”로 명명된 법을신설하는 것 자체의 문제점
3. 인터넷상의 인격침해행위 관련법을 만들기에 앞서 추가적으로 고려할 사항: OSP 작위의무
III. 허위사실유포죄 유지의 법리적.정책적 타당성
1. 허위사실유포죄 - 역사적 배경과 현 추세
2. 허위사실유포죄의 문제점
IV. 맺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