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환경정책과 토건주의

한국에서 토건국가 출현의 배경: 정치적 영역화가 토건지향성에 미친 영향에 대한 시론적 연구

원문정보

Territorial Politics and the Rise of a Construction-oriented State in South Korea

박배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onstruction-oriented, developmentalist nature of the Korean state has been increasingly criticized by the critical social scientists in Korea, but it has not been sufficiently explained why the Korean state has shown such a developmentalist selectivit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ocio-political backgrounds for the rise of the construction-oriented, developmentalist state in Korea on the basis of the strategic-relational approach to the state. In particular, it argues that the con-struction-oriented, developmentalist nature of the Korean state has been strongly influenced by the highly politicized territorial interests mobilized at the local and regional scales, which has been conditioned by complex interactions among the spa-tial selectivity of the Korean state, uneven regional development and territorialized party politics.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suggests as follows: 1) the territorialized party politics, in which the partisan politics has been primarily structured on the basis of regional cleavages, has made the parties and politicians more sensitive to the politics of local/regional development, which has put great impacts on the state’s decision-making; 2) the weak development of the class politics (at the national scale) and the grass-root politics (at the local and regional scales) has facilitated the terri-torialization of the place-based interests and identities; 3) the ways in which Koreans interpret the politico-economic realities of regions and localities has been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discursive frame of the highly politicized ‘center-local’ relations, which has led to the intensified inter-local/inter-regional completion for the central government’s spending for local/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nstruction-oriented, developmentalist nature of the Korean state should not be attributed solely to the irrationality, incapability and immorality of Korean bureaucrats and politicians, but it needs to be explained on the basis of more complicated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interactions and contestations among forces acting in and through the state.

한국어

그동안 한국 국가의 토건지향성과 개발주의적 성향에 대한 여러 비판이 제기되어왔다. 하지만, 한국 국가의 정책이 왜 그러한 선택성을 보였는지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제시되지는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한국에서 토건지향적인 국가가 등장하게 된 배경을 전략관계적 국가론을 바탕으로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지난 1960년대 이후 현재까지 우리나라 국가의 공간정책과 그를 둘러싼 복잡한 정치-경제적 과정의 결과로, 지역적 스케일에서 영역화된 이해의 정치적 동원화가 매우 활성화되었고, 그 때문에 국가의 토건지향성과 개발주의적 성향이 강화되었음을 주장한다. 더 구체적으로, ① 정당정치에서의 중심적 균열구조가 지역에 기반을 두고 형성됨에 따라, 정당과 정치인들이 지역 차원의 개발주의 정치에 쉽게 순응하여, 국가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게 되고, ② 계급정치와 풀뿌리 민주주의의 미성숙으로 말미암아, 지역 차원에서의 장소적 이해가 강하게 영역화되는 경향을 보여주며, ③ 1970년대부터 지속된 지역주의 정치의 영향으로 지역의 정치-경제적 현실을 해석하는 담론의 프레임이 ‘중앙-지방’ 관계를 중심으로 매우 정치화되어 있다는 조건들이 한국 국가의 토건지향성 강화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쳤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한국 국가의 신개발주의적 토건지향성의 문제를 정권과 관료들의 비합리성, 무능, 비도덕성에 국한하지 않고, 그러한 성향을 가지게 한 국가 안에서, 그리고 국가를 통해서 작동하는 사회세력들 간의 더욱 복잡한 정치-사회-경제적 경합과 상호 작용의 메커니즘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신개발주의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3. 국가에 대한 전략관계론적 이해
 4. 영역적 이해의 동원과 개발정치
 5. 영역정치와 국가의 토건지향성
 6. 한국에서 토건적 신개발주의 국가 형성의 역사적 과정:시론적 설명
  1) 국가주도 경제 성장과 ‘토건지향적 발전주의 국가’의 형성
  2) ‘토건지향적 발전주의국가’에서 ‘신자유주의적 토건국가’로의 전환
 7.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배균 Park, Bae-Gyoon.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