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 개념과 정서조절곤란이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nfluences of Negative Social Self-Concept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Social Anxiety among University Students

오은혜, 노상선, 조용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ntemporary cognitive model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negative social self-concept in social anxiety or social anxiety disorder, and recent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may also play a role in social anxiety or social anxiety disorder. This study examined the unique effects of negative social self-concept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social anxiety among a sample of 200 university students. As expected, negative social self-concept significantly predicted both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social phobic symptoms after controlling for the levels of depression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lso significantly predicted both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social phobic symptoms above and beyond the levels of depression and negative social self-concept. Further,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dimension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were examined. Nonacceptance of emotions, lack of attention to and awareness of emotions, and lack of emotional clarity each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both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social phobic symptoms, whereas the other dimension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did not independently predict any kinds of social anxiety. These results provide support for the unique role of negative social self-concept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in social anxiety, as well as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the dimension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social anxiety.

한국어

현대적인 인지모형들은 사회불안 또는 사회불안장애에서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 개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최근에는 사회불안 또는 사회불안장애에 있어 정서조절곤란도 또한 일정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조절곤란,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 개념, 사회불안 및 우울수준을 측정하는 자기 보고형 검사들을 실시하여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 개념과 정서조절곤란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고유효과를 검증하였다. 예상한 대로,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 개념은 우울수준과 정서조절곤란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사회적 상호작용불안과 사회공포증상 양자 모두에 유의미하게 기여하였다. 정서조절곤란 역시 우울수준과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 개념의 영향을 넘어서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과 사회공포증상 양자 모두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아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사회공포증상에 대한 정서조절곤란의 6가지 차원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정서에 대한 주의와 자각 부족, 그리고 정서적 명료성 부족 차원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사회공포증상 양자 모두에 각각 유의미하게 기여한 반면, 나머지 세 차원들 각각의 독립적인 기여도는 어떤 유형의 사회불안에 대해서도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사회불안을 예측하는데 있어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 개념과 정서조절곤란의 고유한 역할뿐 아니라 정서조절곤란의 여러 차원들의 차별적인 영향을 지지한다.

목차

국문초록
 방 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분석방법
 결 과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 개념, 정서조절곤란,사회불안 및 우울수준과의 상관관계
  사회적 상호작용불안과 사회공포증상에 대한 정서조절곤란과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 개념의 고유효과
  정서조절곤란 하위요인들의 사회불안에 대한상대적 기여도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은혜 Eunhye Oh. 한림대학교 심리학과(Department of Psychology, Hallym University)
  • 노상선 Sangsun Noh. 한림대학교 심리학과(Department of Psychology, Hallym University)
  • 조용래 Yongrae Cho. 한림대학교 심리학과(Department of Psychology, Hallym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