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 자율화 정책의 쟁점과 대안- 5. 31교육개혁 이후의 ‘시장적’ 대학자율화1) 논의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ality and Policy Debates surrounding government initiatives to increase institutional autonomy at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변기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iming to investigate some of the issues surrounding ongoing government initiatives since May 31 Education Reform Plan in 1995 to increase institutional autonomy at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HEIs), which include: (1) chronological developments of government initiatives to increase autonomy of HEIs; (2) current status of institutional autonomy at Korean HEIs and (3) Issues and debates around increasing autonomy of HEIs. In order to more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se issues, this study employs Jongbloed(2003)'s analytical framework which suggested the following four dimensions as basic conditions for a free market: (1) freedom to entry; (2) freedom to specify the product; (3) freedom to use available resources; and (4) freedom to determine pric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at there are still considerable constraints existed for autonomy of HEIs in Korea, in particular, in such areas as eatablishing a new HEI and academic department or program within individual HEIs, deciding a number of enrollment at individual HEIs, and slecting students based on their own admission criteria etc. For public universities, due to their legal status as a part of government, insitutional autonomy is even more restricted by various governmental laws and regulations. To more substantially increase institutional autonomy at Korean HEIs, this study suggests overhauling of current system of higher education laws which implicitly assumes the custodian role of government for all the aspects of HEI operations. In addition, the study also recommends government to prepare a long-term strategic plan to make clear the role of public and private HEIs in Korean higher education system and to implement an institutional capacity building plan and accountability measures along with government initiatives to increase institutional autonom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고등교육 정책 추진의 핵심적 정책수단중 하나로 등장하고 있는 대학자율화 정책과 관련하여 (1) 대학자율화 논의의 연혁적 배경과, (2) 현재 한국 대학의 자율화 정도와 추가적 자율화 가능성, 그리고 (3) 경쟁 촉진을 위한 자율화 정책 추진에 따른 문제점과 대안을 체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정책추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Jongbloed (2003)가 제시한 자유시장(free market)을 구현하기 위해 공급자가 향유해야 하는 4가지 조건(진입의 자유; 최종산출물을 특정할 수 있는 자유; 가용한 재원을 자신의 재량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자유;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자유)을 바탕으로 한국대학들의 자율화 정도와 한계를 살펴보고 있으며, 결론적으로 볼 때 아직 수도권 정원 제한, 학과 설폐 및 증원에 대한 제한, 학생선발권에 대한 제한 등 경쟁촉진에 장애가 되는 중대한 제약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국립대학의 경우 정부기관의 일부라는 기본적 성격 때문에 자율성 확대에 근본적으로 제약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경쟁촉진에 바탕한 대학운영 방식의 근본적 혁신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1) 정부의 지도․감독의 범위 및 한계와 관련된 인식체계의 근본적 전환을 전제로 한 고등교육 법령체계의 전면적 개편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2) 국공립대학과 사립대학의 성격 및 역할을 명확히 분담하기 위한 정책적 비전의 제시, 그리고 (3) 대학 자율화 확대 정책에 수반하여 대학의 자율역량 강화정책과 사회적 책무성 강화방안이 반드시 병행 추진되어야 함을 제언하고 있다.

목차

<요 약>
 I. 서론
  1. 문제의 제기
  2. 대학 자율화의 개념과 목적
 II. 대학 자율화 정책의 연혁적 고찰
  1. 1995년 5. 31교육개혁 이후 노무현 정부까지
  2. 이명박 정부의 대학자율화 추진 현황
 III. ‘시장적’ 대학자율화 정책의 쟁점과 정부의 역할
  1. 진입의 자유
  2. 산출물을 특정할 수 있는 자유
  3. 가용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자유
  4. 산출물의 가격을 책정할 수 있는 자유
  5. 종합적 논의
 IV.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정보

  • 변기용 Ki Yong, Byun. 고려대학교, 교수(Korea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