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찰 조직에서 Fiedler의 리더십 상황적합 모형에 관한 실증적 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actual analysis about the case of fiedler's situation analysis patternin leadership of police

김용현, 박은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global world in the 21st century, when the trait of an organization and an individual is variable, I made a survey of what character a successful leader should have and in what way the leader should lead an organization successfully. In this survey, I will explain it through Fiedler's situational model. Although the hypothesis about Fiedler's situational model, which is about group organization and social organization, was proved through a lot of research, the survey on the police organization is in sufficient. Therefore, applying Fiedler's situational model, I will explain whether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the police organizational leadership is or not and what type of leadership pattern is more important i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ree hypothes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Hypothesis 1, the hypothesis ― “If the situational significance is high, the relationship between LPC index and performance is negative." ― was proved in Octant type Ⅰ,Ⅱ,Ⅲ. The more task-oriented the leader is, the more positive the performance satisfaction of subordinates has effect on the organization performance, it is prov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Hypothesis 2, the hypothesis ― “If the situational significance is medium, the relationship between LPC index and performance is positive." ― was proved in Octant type Ⅳ,Ⅴ,Ⅵ,Ⅶ. According to the result of Hypothesis 3, the hypothesis ― “If the situational significance is low, the relationship between LPC index and performance is negative." ― was proved in Octant type Ⅷ. That is, Fiedler's theory that the task-oriented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proved, and it is clear that less than 0.05 significant level exists. In this survey, through LPC and three situational variables ― the bases of Fiedler's situational model, it was proved that they are applied in the police organization equally. As a result, it is meaningful that it is proved.

한국어

21세기 글로벌 시대를 맞아 조직과 개인의 특성이 수시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성공적인 리더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어떤 방법을 활용하여 조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야 하는가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Fiedler의 상황적합 모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군 조직, 일반사회 조직에 대한 Fiedler의 상황적합 모형에 대한 가설은 많은 연구를 통하여 검증이 되었으나, 경찰 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므로 Fiedler의 상황적합 모형을 적용하여 경찰 조직에서 리더십 인식의 차이와 조직성과에 우선되는 리더십 패턴이 무엇인가를 3가지 가설 검증을 통해 살펴본다. 가설1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상황유의성이 높을 경우, LPC 점수와 성과와의 사이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존재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옥탄트 Ⅰ, Ⅱ, Ⅲ 유형에서 증명되었으며, 과업지향형 리더일수록 부하직원의 직무만족인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검증되었다. 가설2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상황유의성이 중간정도의 경우, LPC점수와 성과와의 사이에는 정(正)의 상관관계가 존재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옥탄트 Ⅳ, Ⅴ, Ⅵ, Ⅶ 유형에서 검증되었다. 가설3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상황의 유리성이 낮은 경우, LPC점수와 성과 사이에는 부(負)의 상관관계가 존재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옥탄트 Ⅷ유형에서 검증되었다. 즉 과업중심의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Fiedler의 이론이 검증되었으며, 0.05이하의 유의미한 수준도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Fiedler의 상황적합 모형의 기본인 LPC와 3개의 상황변수가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경찰 조직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가설검증을 통해 입증했으며, 그 결과 Fiedler의 상황적합 모형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한 것이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목차

〈국 문 초 록〉
 I. 서론
 Ⅱ.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1. 경찰 조직의 특성
  2 경찰 조직의 리더십 행동 유형
  3. 선행연구
 Ⅲ. 연구를 위한 지표설계 및 분석기준
  1. 연구의 대상 및 범위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3. 연구 모형
  4. 가설설정
 Ⅳ. 분석 결과
  1.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2. 상황 변수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3. 가설 검증
  4. 분석결과에 관한 논의
 Ⅴ. 결론 및 함의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용현 Kim, yong hyun. 영남이공대학 경찰경호행정과 교수(Professor, Dept. of Police &Security Administration, Yeungnam College of Science & Technology.)
  • 박은미 Park, eun mi. 경북여성정책개발원 연구위원(Research fellow, Gyeongbuk Woman's Policy Development Institute.)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