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 마을 공동체 만들기 운동의 발전 방안 모색- 충남 홍성군 홍동 풀무마을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building of regional village community - the orientation of Chungnam Hongsung Pulmu village

최승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make and develop communit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elf- reliant economy and social networks of Pulmu village which lies in Chungnam Hongsung region. As well, it deals with the recently confronted problems of its villagers. Above all, the alternative school as social capital has mainly contributed to the accomplishment of the community ideal. Relatively systematic organization and planning in this rural village have occurred in the course of its development. But it is necessary to make a cooperative distribution system and ensure the price security of organic agriculture products, to build a whole network and regulation between the various organs and committees, etc., according to the extension from rural village to the regional sphere, to substitute for the work of elderly farmers who are ageing. Thus the conclusion to this study suggests as a policy alternative to concentrate not on the market distribution culture, but on the social relationship culture, to establish a self- controlled, administrative organ with the aim of regulation of the whole, to approach both the institutional and political in order to divide and support the work of ageing persons by legal agricultural firms.

한국어

이 글에서 필자는 마을 만들기를 “지역 소규모 생활공간에서 지역민 스스로 자립을 위해 협동적, 공동체적 경제를 구조화하고, 동시에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여 대면 접촉과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는 행위와 활동이다.”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 하에 지역 마을 공동체 만들기와 발전을 위한 목적으로 충남 홍성의 풀무마을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사회적 자본으로 학교가 기반이 되어 성장한 풀무마을의 오리농 쌀을 통한 자립순환 경제와 사회적 관계망을 살펴보고, 또한 내외적인 환경 변화에 따른 도전으로 유기농산물의 유통구조와 판로 확보의 문제, 마을에서 지역개념으로 확대됨에 따른 다양한 조직과 위원회 간의 전체적인 네트워크화와 조율의 필요성, 그리고 인구학적인 고령화문제 등을 점검해 보았다. 그리하여 공동체 발전을 위해 대안 농업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소득원 개발과 지산지소(地産地消) 운동과 사회관계론적 유통체계로서 지역의 생협 소비자 조합원 확대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마을단위에서 지역개념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마을 전체조직 및 단체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자치 행정사무국 또는 센터 설치를 제안하기도 하였다. 고령화와 관련해서는 기계화 영농법인(인력대행회사 역할)에 의해 고령 농민의 농작업을 위탁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효율적 공동생산과 농지보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도적, 정책적인 문제해결 접근을 주문하였다. 풀무 마을의 사례를 보자면 지역 마을 공동체 만들기의 한계도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현재 농산물 개방에 의한 생산물 적정 가격의 유통상 어려움은 국가권력과 거대 자본의 논리에 의한 영향이기 때문에 마을, 지역의 미시적 범주의 공동체적 지역화 문화가 마을과 마을 간의 네트워크화에 의한 국가적, 글로벌 범주의 공동체적 문화 확산 운동으로 발전하여야 한다. 또한 협동적 경제행위와 구조를 구성 원리로 한 것이지만, 근본적으로 시장의 경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 시장경쟁에 한계가 있는 인구학적인 변화에 의한 고령 농민화와 한계 가정에 대해서 공동체 내부뿐만 아니라 공동체 간에 소득 재분배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복지 국가적 차원의 계층 간 소득 재분배 논리가 지역 내부와 공동체 간에도 기능할 수 있는 보완적 지원시스템이 있어야 한다. 결국 마을 만들기 개념의 내용과 구성 원리, 전략에 있어 이러한 문제들이 보완되고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
  4. 연구 내용 및 기대 효과
 II. 개념 틀: 지역 마을 만들기
 III. 마을 만들기 운동의 동향
 IV. 사례연구-충남 홍성군 풀무 마을
  1. 마을의 개요 및 현황
  2. 마을 자립순환경제
  3. 사회적 관계망
  4. 내외적인 도전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승호 Choi, Sung-Ho. 충북개발연구원 연구위원(Researcher, Chungbuk Development Institute(Ph. D))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