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럽 주요 국가들의 민방위 제도 실태분석과 정책적 함의

원문정보

Analysis of Civil Defence Systems in Major European Countries and Policy Agenda

박동균, 김도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jor developed European countries such as United Kingdom, Germany, France, Switzerland and so on have changed their own civil defence systems since 2003 so as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threat of international terrorist organizations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disasters actively after 9/11 attack. To develop civil defence systems including the concept of disaster management, most of them have newly enacted or revised their civil defence act. In addition, some have also unified the administrative systems concerned about civil defence which was divided into the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 Others reorganized several disaster management departments as a single organiz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analyzed the history of civil defence act, the definition of civil defence, the organizations of civil defence and so on in major developed countries to present better direction of development on the civil defense system in Korea. First of all, although comprehensive or systematic approach and efficient public administration for disaster management are needed due to the attribute of the disasters, the support lines between disaster-related laws are not fully sufficient to induce administrative cooperation and prevent disasters when they occur. Therefore, civil defence and disaster-related laws should be rearranged sooner or later. Second, the unified and specialized agency related with civil defense and disaster management should be established and it also have a comprehensive concept of security including natural disasters, man-made disasters, civil defense, protecting national core-based systems, cyber attacks, biological disaster.Third, Korean civil defence should be reset as an organization to promote security awareness from North Korea's provocation as well as one to protect citizens from globalized terrorism and disasters. Lastly, civil defence training should be developed not for only civil defence members but for all of the Korean people as public education. For this end, civil defense plan should be a combination of school education and life, ensure the safety of the people actively, and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e people over.

한국어

영국,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과 같은 유럽 선진국들은 9․11 테러 이후 급변하는 국제테러단체의 위협과 재난의 국제화 및 세계화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목적으로 2003년을 기점으로 민방위 관련 법률을 개정하거나 기존 민방위 관련 법률에 재난관리 영역을 추가하는 새로운 법률을 제정하였다. 또한, 연방정부와 지방정부로 이원화되어있던 재난관리 행정체계를 대폭 개선하여 연방정부 차원에서 일원화하는 기구를 설립하거나 몇 개의 재난관리 부서를 통폐합하여 단일기구로 개편하는 등 민방위 제도와 재난관리를 포괄하는 거시적 차원의 민방위 제도를 탄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럽 선진국들의 민방위 제도의 실태에 대해 민방위 관련 법률의 변천과 각 국의 민방위 관련 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는 민방위의 목적 및 목표, 그리고 민방위 전담 기구 등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우리나라 민방위 제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재난관리 속성상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하여야만 효율적인 행정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뒷받침해 줄 재난관련법령 상호간의 통일성과 종합성이 결여되어 재난예방과 재난발생시 행정기관간의 업무협조가 곤란한 실정이므로 민방위 및 재난관리 관련 법률들에 대한 재정비가 필요하다. 둘째, 자연재해, 인적재난, 민방위, 국가핵심기반체계 보호, 사이버테러, 생물학적 재난 등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안보개념의 민방위 및 재난관리 관련 기구의 일원화 및 전문화가 필요하다. 셋째, 민방위 조직이 만약에 있을 지도 모를 북한의 도발 등 국민의 안보의식 고취를 위한 조직으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세계화되어지는 테러,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조직으로의 위상이 재설정되어야 한다. 넷째, 민방위 교육은 민방위 대원 중심의 교육에서 대국민교육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민방위훈련이나 학교교육에서 민방위교육을 병행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국민의 안전생활을 보장하며, 이를 통한 국민의 신뢰성을 제고시켜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의 검토
  1. 민방위의 개념과 필요성
  2. 민방위의 도입배경
  3. 선행연구의 검토
 Ⅲ. 유럽지역 국가들의 민방위 제도 실태분석과 시사점
  1. 유럽지역 주요 선진국 민방위 제도의 실태
  2. 한국에게 주는 정책적 시사점
 Ⅳ.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동균 Park, Dong-Kyun. 대구한의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Police Administration, Daegu Haany University.)
  • 김도균 Kim, Do-Kyun. 대구한의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강사(Lecturer, Department of Police Administration, Daegu Haany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