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aims at studying the meaning of Aristotle's sophrosyne(Phoronēsis) and trying to find out how to get and realize sophrosyne(Phoronēsis)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with moral instruction in connection with the cultivation of virtues.According to Aristotle, it is assumed that man can reach god's contemplation with his own effort. In a passage of 「Nicomachean Ethics」, it is stated that contemplative life is the indicator of life enjoying eudaimonia and it is thought that highly separated sophia, the complete combination of episteme and nous and man's way of behavior can lead to a contemplative life through 'Phoronēsis' which is formed by the structural combination of self-recognizing moral virtues agreed ideologically by 'self-control.'In this respect, it is reasonable to define that the goal for moral education at school is to display sophrosyne(Phoronēsis) by achieving sophia and connecting it with moral virtues. In the end, giving moral education by virtues must be understood as a way toward a contemplative life by achieving and developing sophrosyne(Phoronēsis). Therefore current moral education of an elementary school whose curricula are composed of from the viewpoint of moral education should also have the purpose and method that must be practiced in a large viewpoint as this.Eventually, mor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demands that teachers affect the students' intellectu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impression of the teachers' behaviors showing their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themselves, helping the students get a habit of virtue or build a foundation of it that enable them to achieve and realize sophrosyne(Phoronēsis). That is, students' achievement of sophrosyne(Phoronēsis) depends on 'teachers' ardent attitude of life toward truth.
한국어
이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실천적 지혜의 의미를 고찰해 보고 형성과 구현의 측면에서 초등학교 도덕교육의 목적으로서 실천적 지혜의 정당성을 밝히는데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기본 사상은 세상을 형상(form)과 질료(matter)라는 의미상 구분을 설정함으로서 질료와 형상에 대한 논리적인 접근을 통해 인간 삶을 구조적으로 이해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덕(aretē) 또한 형상의 부분인 지적 덕과 질료의 부분인 도덕적 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덕이란 인간의 행동을 '중용'으로 합의된 도덕적 덕을 실천하는 부단한 노력을 통해 지적 덕을 형성하여 관조(teoria)의 생활로 표현되는 행복(eudaimonia)의 향유를 목적으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적 덕에는 이성과 학문의 완벽한 결합인 이론적 지혜, 그리고 인간의 행동이 실천하기 직전의, 실천하지 않았지만 실천을 염두에 둔, 실천이라고까지 간주할 수 있는 실천적 지혜가 있는데, 이 중 실천적 지혜의 진정한 의미는 행복의 향유라는 도덕 교육의 기본 목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이 도덕수업을 통해 실천으로 맞닿아 공유할 수 있는 '교사의 모범과 학생의 습관화'의 전형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결국 교사의 진리를 향한 치열한 실천적 지혜의 모범으로 학생들은 지적으로 이해하고 정서적으로 감동받아 실천적 지혜를 모방하게 하는 것이 초등학교 도덕교육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목차
Ⅰ. 서 론
Ⅱ. 실천적 지혜의 의미
Ⅲ. 도덕교육과 실천적 지혜의 관련 문제
Ⅳ. 초등도덕교육의 목적으로서 실천적 지혜
Ⅴ. 결 론
【참고 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