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y to verify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on sociality and leadership development in elementary-school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irst, which effects the peer tutoring has on development in sociality of elementary-school children? Second, which effects the peer tutoring has on development in leadership of elementary-school children?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s, it selected two classes in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here is located in Gunsan city of Jeonbuk. It selected 24 persons in one clas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persons in another class for the comparative group. And targeting the experimental group, the peer tutoring was carried out over totally 20 sequential times for 5 week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mean score in sociality for the experimental group(M=2.5171) with participation in peer tutoring was indicated to be higher than the mean score of sociality in the comparative group(M=2.2811) with participation in general instruction,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at p<.05. Second, the mean score in leadership for the experimental group(M=3.9317) with execution of peer tutoring was indicated to be higher than the mean score of leadership in the comparative group(M=3.5425) with execution of general instruction,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at p<0.5. Through the above findings, it can be known that the peer tutoring has positive effect on development in sociality of elementary-school children. And, the peer tutoring can be known to have positive effect even on development in leadership of elementary-school children.
한국어
교육은 일부 아동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아동을 위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학교 상황에서는 아동 개개인의 전인적 발달에 관심을 갖기 어렵고, 유의미한 개별화 교육을 실시하기가 어려운 형편이다. 특히 다인수 학급은 수업의 능률을 저하시키고 수준별 학습, 개별화 학습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생활 지도와 인성 지도에도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동료지도학습을 들 수 있다. 동료지도학습은 아동들이 서로 짝을 이루어 교육적 도움을 주고받으며 학업적인 면을 비롯한 여러 가지 면에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아동 상호간의 협력을 통해 정의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즉, 동료지도학습을 하면서 동료와의 성공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료지도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과 리더십 발달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밝히고 초등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목차
Ⅰ. 서론
Ⅱ. 동료지도학습
1. 동료지도학습의 개념 및 이론적 근거
2. 동료지도학습의 효과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실험 설계
3. 실험 절차
4. 측정도구
5. 자료 처리 방법
Ⅳ. 연구 결과
1. 동료지도학습이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2. 동료지도학습이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