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to the adaptation processes new coming student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o understand social and cultural factors related to this adaptation processes. This study based on ethnographic research methodology, the researcher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on the adapting processes.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wo aspects of adaptation processes were the relationship and the activity. And the cycle of changes of adaptation process were shock period, adaptation period, and steady period. Social and cultural factors related to the adaptation of transferred elementary students were personal assets, physical spaces, and plays and games. Transferred elementary students demonstrated that they adapted themselves to situations by different strategies such as situational adaptation, strategic compliance, and strategic redefinition.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전입생들이 새로운 학교에 적응하는 과정과 이러한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전입생의 적응에 대한 방법과 구조를 밝히기 위해 문화기술적 연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고 그 기법으로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적응에 대한 두 관점인 관계적 측면과 생활적 측면을 밝혀 낼 수 있었다. 이러한 두 가지 관점에서 변화의 기준이 되는 시간적 측면을 충격기, 적응기, 안정기로 나누어 그 특징들을 찾아 낼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인적 특징들(전입생의 성격, 외모, 활동능력 등), 물리적인 공간, 놀이와 게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특징에 따라 적응의 모습이 달라졌다. 전입생들은 학교에서 생활해 나가면서 학급의 일원으로 적응해 갔다. 이들 전입생들은 상황적 적응, 전략적 순응, 전략적 재정의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적응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학교
2. 연구 참가자
3. 자료 수집
4. 자료분석
Ⅲ. 전입생의 시기에 따른 적응 과정
1. 충격기(전입초기)
2. 적응기(전입중기)
3. 안정기(전입후기)
Ⅳ. 전입생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학생의 개인적 특성
2. 물리적 공간
3. 놀이와 게임
Ⅴ. 전입생의 적응이 갖는 사회문화적 의미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