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at verifying the effects of a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o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chool-related adjustments and motivation acquisition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tudies sociality, social skills, human-related socila skills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According to the studies, to verify the hypotheses, 2 groups of subjects, 1 experimental group, and 1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Anyang.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3 periods a week for 7 week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First, the students that were provided with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djusted at school better than the students that were not provided with the program. Specifically,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on the teacher adjustment, school life adjustment, children's peer adjustment and schoolwork-performance adjustment. Second, the students that were provided with the program maintained a higher level of motivation than the students that were not provided with the program. Specifically the program was effective on instructional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continuing motiva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rove that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on improving not only school-related adjustment skills, but also the motivation to learn.
한국어
본 연구는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먼저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사회적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대인관련 사회적 기술과 학교적응,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과 학교적응의 관계를 논의한 후에, 이를 기반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경기도 안양시에 소재한 A초등학교 1학년 2개 학급 64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에는 7주간 주 3회 총 21회의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학생은 학교에 보다 잘 적응하였다. 특히, 교사적응, 학교생활적응, 또래적응, 학업수행적응의 순서로 1학년 학생에게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은 효과가 있었다. 둘째,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학생은 학습동기가 높았다. 특히, 수업동기, 비본질동기, 본질동기, 계속동기의 순서로 1학년 학생에게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은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은 학교적응력 향상이라는 대인관련 측면 뿐 아니라, 학습동기 향상이라는 학습 측면도 함께 증진시켜주는데 효과적임을 밝혔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
2. 사회적 기술과 사회적 기술 훈련
3. 대인관련 사회적 기술과 학교적응
4.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과 학습동기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3. 프로그램
4. 실험설계 및 절차
5. 자료처리방법
Ⅴ. 연구결과 및 해석
1. <가설 1>의 검증
2. <가설 2>의 검증
Ⅵ.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