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과 ‘생활 속의 목제품’ 단원의 현장 실천 방안

원문정보

Practical Action Plan of 'Woodworking Product of Life' Unit in Practical Arts Subject

이춘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pecific action plan of woodworking unit of Practical Arts Subject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sis of literatures of woodworking curriculum contents, by survey of elementary teachers' needs in Incheon educational districts and by deliberation of textbook development experience for action plan.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ion plan was diversify the working projects or topics according to the students' achievement levels. The plan was realized various practice topics as students' level and suggested projects according to the local community situation. Second action plan was to present the working projects depends on the practice room in the Practical Arts subject textbook. The plan was considered that most of elementary school has not equipped practice room of Practical Arts. Third action plan was to supply specific practice guide book for elementary teachers. The plan was regarded practical guide for beginners in forms of teachers guide book. Fourth action plan was to provide a training program of woodworking projects for enrichment teaching capacity. The plan was considered to apply new curriculum contents of woodworking projects through on-the-job-training program. Finally action plan was to need legal assistant of Practical Arts practical room. The plan was respected the work education and problem solving activity for woodworking efficiency class.

한국어

이 연구는 개정된 2007 실과 교육과정에 따라 목공 단원의 현장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의 실과 교육과정 상에 나타난 목공 관련 내용을 알아보고, 현행 교육과정의 목공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사항을 조사한 후 ‘목제품 만들기’ 단원의 현장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인천지역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조사연구를 수행하여 기초 자료를 수집하였다. 목공 단원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설문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실과에서의 실습 활동을 위해 학교에서 별도의 전담 교사를 운영하고 있는 사례는 점점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담임교사가 직접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목제품 만들기 실습 활동을 많은 교사들이 하고는 있지만, 업체에서 조잡하게 만든 실습 세트를 구입하여 조립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할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실습활동을 하지 않는 교사들의 주된 이유 중의 하나가 실습실이 없어서 아예 포기하는 경우가 있다고 보고, 교실 수업에서 활동 가능한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새로운 교육과정에서의 목제품 만들기 활동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실습 과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와 살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목공 단원에 대한 현장 실천 방안을 5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학생 수준에 따른 활동 과제를 다양화 한다. 둘째, 실습 장소에 따른 활동 과제를 개발하여 제시한다. 셋째, 상세한 실습 안내 지침서를 제공한다. 넷째, 목공실습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도 능력을 향상 시킨다. 다섯째, 실과실의 운영에 대한 법적 지원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실과 목공 단원의 교육과정과 평가
  1. 실과 교육과정에서 목공 단원의 변천 과정
  2. 제7차 실과 목제품 단원의 평가
 III. 목공 단원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 조사
  1. 실과 수업의 개요
  2. 실과 목공 수업 활동
  3. 설문 조사에 나타난 시사점
 IV. 목공 단원에 대한 현장 실천 방안
  1. 실천 방안 1
  2. 실천 방안 2
  3. 실천 방안 3
  4. 실천 방안 4
  5. 실천 방안 5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춘식 Lee, Choon-Sig.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