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가브랜드 지수와 국가디자인 경쟁력의 연관관계 분석

원문정보

Nation Brand Index and National Design Competitive Power of Association Analysis

김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ational brand image for a country's economic achievements are considered to be a profound affect. This competitive element in the national level stands. This study compares the design, power analysis and design powerhouse national brand and national brand for the association was to help us better understand.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in 1'st of the six kinds of assessment data field public of the National Design Competitive Power report, industry, national  consumer, and of human capacity, environment and investment competitiveness of the analysis and design was utilized. Country Brand Index 2008 compare merchants and anholt company United States is the national brand index. Analysis of most Asian countries except Japan in the field of design, low stayed in a competitive national brand ranked in the survey were also ranked. The index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and low competitiveness of their design, a strong national brand will also appear highly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has to be seen. Korea's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design, public design, performance-centric design, environment design, and three areas of investment focus will be development of the investment was. Note that, the design competition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index and index of national brand, will pursue.

한국어

국가 브랜드와 그 이미지는 한 국가의 경제적 성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것은 국가적 차원에서의 경쟁력 요소를 뜻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 강국과 국가브랜드 강국을 비교분석하여 디자인과 국가브랜드의 연관성에 관한 관계 여부를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우선, 한국 디자인 진흥원의 1차 통계분석 자료 보고서의 항목 중 6가지 평가분야인 공공, 산업, 국민소비자, 성과 중심, 인적 역량, 환경투자 중심 등의 디자인 경쟁력 분석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비교대상인 국가브랜드 지수는 2008년 미국 안홀트社가 발표한 국가브랜드 지수를 이용했다. 분석 결과,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는 대부분의 분야에서 디자인 경쟁력이 하위권에 머물렀고 국가브랜드 또한 하위권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두 지수의 평균과 작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 국가들은 디자인 경쟁력이 강하고 국가브랜드도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 둘은 비례 관계가 있다고 추론된다. 한국의 경우 디자인 경쟁력 분야에서는 공공디자인, 성과 중심 디자인, 환경투자 중심 디자인 등의 3분야를 집중적으로 투자 육성해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참고로, 디자인 경쟁력 지수와 국가브랜드 지수의 차이를 줄이는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국가브랜드 관련 국내외 연구현황
 4. 실증연구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진영 Kim, Jin Young. 협성대학교 시각디자인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