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20세기에 있어서 독일 기독교 교육 수업의 개념이해

원문정보

Die Betrachtung der wichtigen Konzeption : für den deutschen Religionsunterricht im 19.-20. Jahrhundert

강문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evor die wichtige Konzeption für den deutschen Religionsunterricht im 19.-20. Jahrhundert wird, muß man wissen, ein Gespräch über das Proprium des Religionsunterricht seine spezifische Aufgabe zu sein. Eine Verbundwissenschaft zwischen Theologie und den Humanwissenschaften wird immer erneut gedacht. Es ist heute notwendiger, Orientierung über die wichtigen Konzeptionen des Religionsunterrichts im 20. Jahrhundert zu bekommen. Bei den Beschätigungsarbeiten der vergangenen Jahre hat sich aufrichtiger aufgebaut, daß der essentielle Grudsatz des Gesprächs 20. Jahrhundert schon 19. Jahrhundert vorgeprägt wurden.Aber Religionsunterrichtstheorie “Verkündigungstheorie”, die G. Bohne 1929 in Anschluß an die diealektische Theologie bei Karl Barth als Neuorientierung der Religionspädagogik gefodert und die deutsche Religionspädagogik bis 1956 bestimmte, hat die Religionsunterrichtslehre der sog. liberalen Phase bewältigt, die auf die Erweckung und Pflege eines religiösen Apriori im Menschen im Sinne einer plambaren religiösen Erziehung hingewiesen.Man kann für den Beweis dieser Theorie die folgende Biebelstelle anführen: “Ihn Verkündigung wir, indem wir jeden Menschen ermahnen und jeden Menschen in aller Weisheit lehren, um jeden Menschen vollkommen im Christus darzustellen. (Kol 1,28)”

한국어

독일 기독교교육 수업의 개념은 신학과 인문과학 분야 사이의 관련 학문으로 기독교교육학의 자체이해에 대하여 항상 새롭게 대두되면서, 오래 전부터 근본적이고 전형적인 과제로서의 기독교교육 수업의 고유한 특성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가 계속 되어져 왔다. 이 논의에 대한 올바른 평가를 하기 위하여 20세기 기독교교육 수업의 가장 핵심이 되는 개념들을 고찰하는 것은 보다 의미 있는 일로 생각된다. 동시에 20세기 기독교교육 수업에서 논의되고 있는 근본적인 개념들은 이미 19세기에 핵심적으로 각인되었고, 그리고 고찰되어졌다는 것이 여러 학자들의 지난 연구결과 명백히 드러났다. 그러므로 20세기 기독교교육 수업의 개념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19세기의 가장 핵심적인 기독교교육학의 사조들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라 사려 된다.본 논문은 19세기-20세기 독일의 기독교교육 수업의 개념들의 이해를 통하여 한국의 기독교교육 수업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에 대응하는 기독교교육학의 과제를 정립하며 실행하려는 시도로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각 나라마다 각각 다른 학습이해와 척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것은 그 나라마다 고유의 문화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면에 있어서 독일이라는 나라의 사회문화를 배경으로 각인 되어있는 독일의 기독교교육 수업의 개념이해는 상이한 문화 현상에 처해 있는 한국 기독교교육 수업에 직접적으로 도입되지는 못할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독일의 기독교교육 수업 개념은 매우 오랜 기간 동안 연구되고 논의 되어 왔기 때문에 우리에게 좋은 지침을 줄 수는 있으리라 사려 된다. 한국의 기독교교육 수업 상황은 독일에 비해서 비록 어려운 실정에 있지만 한국의 교회들이 기독교 학교에 대해서 좀 더 관심을 가지고 노력 한다면 좋은 결과가 있으리라 전망한다.

목차

<요 약>
 Ⅰ. 들어가는 말
 Ⅱ. 19세기 기독교교육 수업의 주요 개념들
  1. 디스터백(F.A.W. Diesterweg)에게 있어서의기독교 수업 개념
  2. 쉴라이어막허(F. Schleiermacher)에게 있어서의기독교교육 수업 개념
  3. 팔머(Ch. Palmer), 하르낙(Th. Harnack)그리고 체츠쉬비치(G. von Zezschwitz)에게 있어서의기독교교육 수업의 개념(교회의 신앙 고백적 전환)
  4. 헤어바르티아너(Herbartianer)의3) 기독교교육 수업의 개념
 Ⅲ. 20세기 기독교교육을 위한 수업의 주요 개념들
  1. 자유주의 기독교교육학 안에서의 기독교교육 수업 개념
  2. 복음교시(Evangelische Unterweisung)로서의기독교교육을 위한 수업
  3. 성서 해석학적인 기독교 수업(hermeneutischer Religionsunterricht)
  4. 문제중심적 기독교교육수업(problemorientierter Religionsunterricht)
 Ⅳ. 한국 기독교학교에서의 기독교교육 수업에 대한 방안 모색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문규 Moon Kyu Kang. 안양대학교(Full-time Lecture,Anyang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