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만주라는 하나의 공간과 한중 두 민족의 마주보기 - 한국과 중국동북 현대문학에 투영된 ‘타자’ 형상 비교

원문정보

A Space called Manchuria and Korean Chinese Two Nations Confronts - A Comparative Study about Korea and North East chinese Literatures' Images of 'The Other'

김창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ecause they both belonged to the zone of Confucianism, from the ancient times China and Korea have had many cultural similarities and frequently have exchanged and influenced each other's literature. After Japanese occupation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literature of China (especially in the North‐East) and Korea were immersed in similar types of historical and linguistic context. At this paper I compare the images of Korea in North‐East Chinese literature and the image of North‐East China in Korean literature. Here I analyze images of ‘the Other’ in the modern literatures of both North‐East China and Korea. There were the following changes in the images of Korean in North‐East China after September 18, 1931, the beginning of the war in Manchuria. First, the images of patriots changed from nationalistic fighters to internationalistic fighters. Second, the boundary of the description of Korean images extended and deepened. Next, I divide images of North‐East China in the minds of Korean writers mainly Korean writers in Manchuria into three categories. These are images of the foreign land as the dark city in the eyes of elites, as the place of hope for immigrant peasants, and as the base of inde- pendence in the eyes of resistance fighters.

한국어

한중 양국은 유교의 문화권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예로부터 양국은 많은 문화적 유사성을 지녀왔으며 서로의 문학에 대한 빈번한 교류는 물론 영향을 끼치기도 했었다. 19세기말 일제강점기 이후 중국과 (특히 동북지역) 한국의 문학은 역사적, 언어적 맥락에 있어 비슷한 유형에 접어들기에 이른다. 본 논문을 통해 필자는 중국 동북 지역문학에 비쳐진 한국의 모습과 한국 문학에 비쳐진 중국 동북지역의 모습을 비교하고 있다. 그래서 필자는 한국과 동북중국 모두의 문학에서 “타인”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있다. 1931년 9월 18일 만주국 내의 전쟁이 시작된 이후 동북 지역 내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아래와 같은 변화를 겪는다. 첫째로, 애국 지사의 모습이 민족적 투사에서 국제적 투사의 모습으로 바뀌었다. 둘째, 한국에 대한 이미지 묘사의 영역이 넓고 깊어졌다. 다음으로, 필자는 한국 작가들(주로 만주국 내의 한국인 작가들)의 정신세계에 투영된 동북중국이라는 이국의 이미지를 엘리트들의 시각에 비쳐진 어두운 도시, 이주 농민들의 희망의 땅, 저항 운동가들의 눈에 비쳐진 독립의 본거지라는 세 가지 분류로 나누어 보았다.

목차

1. 만주공간과 타자형상의 상호성
 2. 디아스포라와 타자인식의 전환
  1) 한민족 디아스포라와 만주인식의 변화
  2) 중국인의 한국 이미지 전환
 3. '타자' 형상의 다양성
  1) 한국문학 중의 만주와 중국인
  2) 동북문학 중의 한국인
 4. '그들' 혹은 '우리' : 한중 양국의 전략적 동맹에 관한 기억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창호 Kim Changho. 강원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