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동의 분노 체험분석

원문정보

An Experiential Analysis of Anger in Children

박향숙, 박성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r significances of anger in children by understanding the common factors observed in children's anger and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children's anger, applying the experiential analysis method.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8 elementary students in 5th grade participated in the experiential study as joint resear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during 6 sessions. Joint researchers learned about the experiential analysis method and recorded what they had experienced at the stage of anger on their analysis sheets. 34 experiential analysis sheet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provides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Children were observed to perceive the factors representing desires more intensely than the factors indicating a mood or senses. Secondly, when they felt urge to express an extreme anger, they were just explored without the cognitive process of judgment. Thirdly, the processes that children feel and treat anger are "the stage of awareness of the situation," "the stage of initial cognitive evaluation," "the stage of induction of anger," "the stage of secondary cognitive evaluation or the stage of intensive drive of anger," and "the stage of anger management".

한국어

이 연구는 아동의 분노체험 속에 포함된 공통요인과 분노체험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과정을 찾아봄으로써 아동분노가 갖는 특성과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체험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 8명이 체험연구의 공동연구자로 참여하였고, 6회기에 걸친 연구였다. 공동연구자들은 체험분석 방법에 대해 배웠고, 자신의 분노체험 내용을 분석지에 기록하였으며, 모두 34개의 체험분석지를 연구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동들은 부당하다고 느낄 때 분노체험, 어이없음을 동시에 느꼈으며 이 느낌들은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비롯되었다. 분노상황들 속에서 아동들이 체험하는 공통요인에는 기분관련 요인, 욕구관련 요인, 신체감각 관련 요인이 혼재되어 나타났으며, 욕구관련 요인들은 기분, 신체감각 관련 요인들보다 더 강하게 지각하였다. 둘째, 아동들은 분노의 외적 표출 가능성에 따라 분노의 공격적 표출과 내적억제의 방법으로 분노를 처리하였다. 그러나 강한 분노표출 충동 때에는 인지적 판단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폭발시키기도 하였다. 셋째, 아동이 분노를 느끼고 처리하는 심리적 과정은 상황인식 단계, 일차적 인지평가 단계, 분노 유발 단계, 이차적 인지평가 단계 또는 강한 분노표출 충동을 느끼는 단계, 분노처리 단계로 정리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향숙 Hyang-Sook Park. 용화초등학교(Yonghwa Elementary School)
  • 박성희 Sung-Hee Park. 청주교육대학교(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