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Family Nursing Phenomena and Characteristics of Women Workers at Medical Institutions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derstand relevant factors by observing phenomena and characteristics of family nursing based on ICNP.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es and 80 reports were prepared by 680 students for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number of the family problems the subjects were faced with was 3.5, while the majority (70%) had 3 problems.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family problem was 'lack of or improper communication,' followed by 'inappropriate family coping,' 'unhealthy life style,' 'inadequate care management of sick members,' and 'wrong parental role.' Married women showed high APGAR score in the family function. The problems they were experiencing were 'lack of or improper communication,' 'inadequate care management of sick members,' and 'wrong parental role.' Conclusion: As a conclusion, the following is advised. First, intervention strategies are required for the women workers at medical institutions as their family problems revealed to have occurred frequently. Second, in order to alleviate family problems of married working women with various tasks and roles they play, necessary measures and concern in the aspect of industrial nursing are needed.
한국어
본 연구는 의료기관 여성근로자에 대해 국제간호실무분류체계에 의한 가족간호현상 및 특성을 찾아내어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 대상은 의료기관 여성근로자중 간호사로서 간호학과 재학중인 간호사 680명이 작성한 80편의 보고서로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족문제에 대한 진단개수는 평균 3.5개였고, 3개가 70%로 가장 높았다. 2. 가족간호현상별 다빈도 순위는 가족의 의사소통장애, 부적절한 가족대처, 부적절한생활양식, 부적절한 질병관리, 부모역할장애의 순이었다. 3. 기혼여성인 경우 가족기능평가는 양호한 편이나 핵가족으로서 발달단계가 학령전기나 학령기에서 가족의사소통장애, 부적절한 질병관리와 부모역할장애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 향후연구를 위하여 다음의 내용을 제언한다. 첫째, 의료기관 여성근로자의 다빈도 가족간호현상으로 파악된 문제에 대한 중재전략의 연계가 요구된다. 둘째, 특히 기혼여성으로서 직장생활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여성근로자의 가족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산업간호측면의 관심과 적극적 대안모색이 요구된다.
목차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3. 자료 수집 방법
4. 연구 도구
5.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의료기관 여성근로자의 일반적 요인
2. 의료기관 여성근로자의 가족간호현상
3. 의료기관 여성근로자의 다빈도 가족간호현상과특성
4. 의료기관 여성근로자가족의 인구사회적 요인과다빈도 가족간호현상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