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Chu Hsi, who was guided by the mentor Lee Tung(李侗) after having entered Confucianism, kept throughout his entire life the one belief that every individual must have the ‘great foundation’ and that this is the origin and power source for all the good he/she does and that this great foundation should be secured through the han-yang(涵養, cultivating one’s good mind). Chu Hsi agreed with his mentor Lee Tung on the point that everyone should have his/her great foundation, but Lee Tung passed away before figuring out exactly how to build up the great foundation. Subsequently, Chu Hsi came across the school of Hu-Nan(湖南) through Zhang Shi(張栻), but still couldn’t get a satisfying answer. Finally, Chu Hsi established a counterproposal of his own. The author thinks that han-yang is a key for understanding Chu Hsi’s theory of self-cultivation. Through considering closely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han-yang in Chu Hsi’s moral metaphysic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show the new sides of Neo-Confucianism’s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other words, it is to unveil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strong points of Neo-Confucianism’s theory of self-cultivation. The main contents of this thesis are to examine thoroughly the process through which Chu Hsi built on his own theory of self-cultivation that would fulfill his needs for han-yang, and to distinguish han-yang of wei-fa(未發) from it of the Elementary Learning(小學). As a consequence of this discussion, one may have a more clear structure of Neo-Confucianism’s theory of self-cultivation.
한국어
본격적으로 유교의 길에 들어서 스승 이동의 지도를 받은 이래 주자가 일평생 유지했던 신념의 하나는, 각 개인은 자신이 하는 모든 선행(善行)의 원천이자 동력원(動力源)으로서 ‘큰 근본[大本]’을 확보하고 있어야 하며 이 대본(大本)은 함양공부에 의해 확립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대본이 있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 주자는 스승 이동(李侗)과 일치하였으나, 구체적으로 어떻게 대본을 확립하여야 하는지에 관해서는 스승의 입장을 확실하게 터득하지 못한 채 스승이 작고한다. 이어 장식(張栻)을 통해 호남학을 접하였지만 주자는 여전히 만족할 만한 대안을 얻지 못한다. 결국 주자는 자신에 의해 대안을 세우게 된다. 필자가 보기에 함양은 주자의 공부론 체계를 정리함에 있어 관건처이다. 이 연구는 주자의 도덕형이상학에서 함양공부가 갖는 위상과 중요성 및 의의를 규명함으로써 신유학의 공부론이 갖는 새로운 면모, 즉 성리학의 공부론이 갖는 독창적인 특색 및 강점을 드러내려는 시도이다. 함양공부의 중요성을 만족시켜 줄만한 공부론을 주자가 스스로 정립해간 과정 및 미발의 함양공부와 소학의 함양공부 간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논의하는 가운데 신유학의 공부론 구조를 좀 더 명료하게 드러내는 것이 이 논문의 주요 내용이다.
목차
Ⅰ. 서 론
Ⅱ. 한 도덕철학자로서 주자의 불만과 고민
1. 대본(大本)의 확립을 위한 공부의 필요성
2. 이동(李侗)의 공부방법 지도와 주자의 불만족
3. 호남학의 공부론에 대한 주자의 불만족
Ⅲ. 미발의 함양공부와 소학의 함양공부
1. 소학의 함양공부가 갖는 의의
2. 성리학의 공부론에서 함양공부의 위상
3. 성리학의 함양공부론이 갖는 현대적 의의
Ⅳ. 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