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설치미술로서의 화예디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데시가하라 히로시, 다니엘 오스트, 크리스틴 보흐렌드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Theoretical Review on Floral Design in the Installation Art

홍성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pursuing a quality of life based more on aesthetics than on mere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people are readily adapting the art of floral art by incorporating this genre as a means to enhance and improve their personal environments. In modern art, floral art remains an integral part of postmodernism. Installation art, which came to prominence in the 1970s, incorporates the use of any materials or media that create an environmental experience. As the realm of installation art expands, it is increa-singly embracing floral design within its auspices, an integration that continues to blossom. Floral art closely interrelates materials, spirit, religion, and individual cul-tures. Floral art, as part of the formative arts, addresses the methods necessary to ex-press form, structure, and configuration in a manner that is both creative and aesthe-tically appealing. With change both constant and rapid within the modern arts, floral artists must continually pioneer new trends and innovative formative styles.This study, the purpose of which is to examine floral art as a formative art, highlights and explains the bond shared by floral art and installation art, as it scrutinizes the commonality and complementary aspects between two genres.

한국어

20세기 예술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회화, 조각, 사진, 영화 등 타 영역간의 경계가 허물어져가며 탈장르화 속에 매체의 상호관련이 강조되고 있다. 이것은 예술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디자인, 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한 변화와 강조를 의미한다. 시대상황의 이러한 변화 속에서 화예디자이너는 환경예술가로 거듭나는 실험의식과 조형의지가 더욱 절실해진다고 하겠다. 현대인들은 생활환경의 질을 높이려는 관심이 기능성이나 경제성을 초월하여 미적인 측면과 고급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공간구성 요소로서 설치미술에서의 화예조형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크게 부각되고 있다. 예술 영역의 수평적 교류로 화예조형의 새로운 표현의 요구가 지대한 현 시점에서 설치미술과 화예조형의 상관성과 일상의 공간 점유라는 의미의 상통성 위에서 그 표현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설치미술과 화예조형은 오늘날의 다양한 표현매체와 양식의 자유로운 통합이라는 측면에서 첨단적인 미술의 개념을 함축하고 있으며 보다 확대된 현대미술의 시대적 산물로써 그 영역을 확장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현대 설치미술과 화예조형의 매체로서의 결합의 사례를 일본의 데시가하라 히로시(勅使河原 宏), 벨기에의 다니엘 오스트(Daniel Ost), 노르웨이의 크리스틴 보호렌드(Kristin Voreland)의 꽃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해보려 한다. 또한 화예조형의 역사를 살펴보고 조형성을 분석, 설치미술에 도입함으로써 화예조형의 조형세계를 재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화예조형의 개념과 전개
  1. 화예조형의 개념
  2. 동양화예의 역사적 배경
  3. 서양화예의 역사적 배경
  4. 화예조형의 양식
 Ⅲ. 설치미술의 개념과 전개
  1. 설치미술의 개념
  2. 설치미술의 역사적 배경
 Ⅳ. 현대미술과 화예조형
  1. 현대미술에서 미니멀리즘의 형성과 특징
  2. 화예조형과 미니멀아트
 Ⅴ. 설치미술로서의 화예조형: 작품분석
  1. 데시가하라 히로시(勅使河原 宏): 소게츠류(草月流)
  2. 다니엘 오스트(Daniel Ost)
  3. 크리스틴 보흐렌드(Kristin Voreland)
 Ⅵ. 결 론
 국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홍성덕 HONG, Sung-duck.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미술비평 전공) Ph.D. Course, Hong Ik University (Art Criticism)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