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치료'의 인문학적 함의를 위한 시론 그리스의 의신醫神, 아스클레피오스sklepios를중심으로

원문정보

A Discussion of 'Treatment' for the Humanistic Implications : Focusing on te Greek 'Healing God,' Asklepios

Kim, Ho Yeon

목차

I. 들어가며
 II. 신화 시기의 의학과 아스클레피오스 신화
  신화 시기의 의학
  아스클레피오스의 신화화
 III. 육체적ㆍ정신적 치유의 공간, 아스클레페이온
 IV. 아스클레피오스가 우리에게 남긴 것
 V. 나오며
 Abstract

저자정보

  • Kim, Ho Yeon 김호연. Kangwon National Univeris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전세일 외,《새로운 의학, 새로운 삶》,창작과 비평사, 2000, 4쪽.
  • 2“Health i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mental and social well-being and not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 infirmity.” “BasicDocument,” forty-fifth, Supplement, October, 2006
  • 3이종찬, 《한국에서 醫를 論한다》,소나무, 2000, 149쪽.
  • 4이종찬,〈서양의학의 질병관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과학사상》가을, 1995, 151~53쪽.
  • 5Hippokratische Medizin und medizinische Ethik네이버 원문 이동
  • 6김호연,〈의학의진실〉,《서양사론》94, 2007, 389~90쪽.
  • 7진교훈,《의학적 인간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 8전우택. 양은배,《인문사회의학과의 학교육의미래》,연세대학교출판부, 2003).
  • 9마종기 외 《의학과문학》,문학과지성사, 2004, 5쪽
  • 10강신익 외,《의학오디세이》, 역사비평사, 2007)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