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 집단활동 참여에 따른 사회적 자본 형성에 관한 구조모형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ructure Model about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affected by Youth Group Activity

조남억, 이광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urrent study aims to analyze the hybrid model of the influence of youth group activity on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examine correlations among relevant factors through the instrumentality of participation level of youth group activity,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groups, and group-dynamics in which participatory conditions operate in the group in order to reveal the relationship of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youth group activity. It is meaningful that the current study verified the necessity of systematic social capital that can be formed through youth group activity participated by youth's voluntary choice, differently from non-systematic social capital that can be hardly chosen by youth like blood relationship and regional relationship.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from youth systematically when considering that social capital is formed for relatively long time and productive interaction is importan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집단활동 참여수준과 참여집단성격, 참여여건에 따른 사회적 자본 형성에 관한 영향 관계에 관한 구조를 분석하고, 청소년 집단활동 참여수준과 참여집단성격, 참여여건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집단역동성의 매개적 역할의 수행 여부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관련변인간의 가설적 인과모델을 구안하고, 이를 실증적 분석절차를 통해 검증함으로써 청소년 집단활동 참여를 통해 사회적 자본의 형성 가능성을 구조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의 혈연, 지연과 같이 청소년이 스스로 선택하기 어려운 비제도적 사회 자본과는 달리 청소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참여하는 청소년 집단활동을 통해 형성 가능한 제도적 사회 자본의 필요성을 증명하였다는 것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사회적 자본은 비교적 긴 시간을 통해 형성되고, 생산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개인 및 집단의 성과에 대한 공유가 중요하다는 특성을 감안한다면, 청소년시기로부터 다양한 집단에 참여함으로써 사회적 자본의 축척이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사회적, 경제적 자립의 시기에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자본으로써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1. 청소년 집단의 의미와 집단활동 참여
  2. 청소년 집단의 성격과 집단역동성의 관계
  3. 청소년 집단의 유형별 특성과 집단역동성과의 관계
  4. 청소년 집단활동 참여와 사회적 자본의 형성
  5. 청소년 집단활동 참여와 사회적 자본 형성과의 관계
 IV. 연구의 방법
  1. 변인의 정의 및 측정도구
  2. 연구 모형의 설계
 V.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2. 가설적 구조모형의 적합도 분석
  3. 집단역동성의 매개적 역할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남억 Cho, Nam-auk. 경기대학교 청소년학과 강사
  • 이광호 Lee, Kwang-ho. 경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청소년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