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불교의례의 지화장엄 -장인별 지화(紙花)기법의 특징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Research on Decorative Paper Flower of Buddhist Rituals

김태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aimed at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echniques and craftsmanship in the making of the decorative paper flowers for the two typical Buddhist Rituals, Su-ryuk-jae and Yeong-san-jae, the latter designated as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50. The paper flowers used in the Buddhist rites surpass any other kind in size and exquisiteness, thus acquiring the name of 'jang-eum' or solemn decorations. The present study was based on a series of 14 studies on the traditional paper flowers in Korea presented by the author since 1981, but in this paper more emphasis was placed on the differences not only between the two rites but also in the craftsmanship and paper material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raftsman. There exist five prominent skill retainers for the Yeong-san-jae paper flowers: Hwang Eun-dong (Monk Wolhwa), Recluse Lee Gi-won, Lee Byeong-woo (Monk Kyeongam), Yun Jong-gyu (Monk Haewol) and Lee Ju-hwan (Monk Seokyong), where as Kim Tae-suk is the only technique retainer for Su-ryuk-ja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Hwang Eun-dong (Monk Wolhwa), makes twelve kinds including cloud flowers; Recluse Lee Gi-won seven including peonies; Lee Byeong-woo (Monk Kyeongam) has techniques for five kinds, including bush clovers; Yun Jong-gyu (Monk Haewol) holds skills for six kinds. Lee Ju-hwan (Monk Seokyong) retains techniques for making nine kinds of flowers besides big chrysanthemums. Kim Tae-suk specializing in the Su-ryuk-jae paper flowers has the expertise of making six different kinds of decorative flowers along with peonies. In conclusion, a total 45 different kinds of paper flowers are presently being produced by these representative artists. The techniques employed by the individual craftsman often share the same or similar names, but as the workmanship and techniques of the artists vary widely, their works denote these differences, thus strongly requiring us to restore the originality of the authentic forms and quality of paper flowers while stimulating the artists' creativity ever more.

한국어

본 연구는 1981년부터 발표하고 있는 한국 전통지화(傳統紙花)에 관한 연구 (1)~(14)의 내용 중 불교의례를 중심으로 연구된 논문을 바탕으로 영산재(靈山齋) 및 수륙재(水陸齋)의 지화장인을 중심으로 지화기법의 특성에 대하여 비교 발표한다. 그 동안의 연구에 의하면 중요 무형 문화재 제50호로 지정 된 영산재의 장엄 중 지화 제작 기법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지화장인은 黃銀同(月華스님), 李基遠 처사, 李秉祐(慶庵스님), 尹鍾規(海月스님), 李周奐(石龍스님)으로 조사 되었다. 한편 수륙재의 장엄 중 지화 제작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지화장인은 金泰淑이가 있다. 이들 장인별 지화 제작에 대한 특성을 중심으로 비교조사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산재의 지화장인인 黃銀同(月華스님)의 장엄지화의 종류는 운화를 비롯하여 12종류이며, 李基遠의 장엄지화의 종류는 살모란을 비롯하여 모두 7종류이다. 또한 李秉祐(慶庵스님)의 장엄지화의 종류는 싸리꽃을 비롯하여 5종류이며, 尹鍾規(海月스님)의 장엄지화종류는 수국을 비롯하여 6종류이다. 그리고, 李周奐(石龍스님)의 장엄지화의 종류는 대국화를 비롯하여, 모두 9종류로 조사 되었다. 한편 수륙재 지화장인인 金泰淑의 장엄지화·종류는 작약을 비롯하여 모두 6종류인데 최근 불가에서는 수륙재에 관심을 갖고 오랜만에 실행하고 있는 사찰도 더러 있다. 이와 같은 불교의례의 장엄지화기법의 종류는 모두 45가지로 조사 되었다. 이 중에 서로 명칭은 같은 것도 있으나 ,장인마다의 솜씨에 따라 기법은 다양하게 표현 되어 똑 같은 모양의 지화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점차 간소화되어 사라져 가고 있는 불교의례의 原形을 보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영산재와 수륙재의 장엄지화의 전통기법을 보존하고 지화 장인들의 기능보유를 위한 문화 정책적 지원을 강조하면서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 론
 2. 불교의례의 지화장엄
  2-1. 영산재, 수륙재의 장엄
  2-2. 꽃과 관련된 장엄
  2-3. 육법공양의 의미
 3. 장인별 지화(紙花)장엄 기법의 특징
  3-1. 황은동(월화스님)의 지화장엄
  3-2. 이기원 처사의 지화장엄
  3-3. 이병우(경암스님)의 지화장엄
  3-4. 윤종규(해월스님)의 지화장엄
  3-5. 이주환(석용스님)의 지화장엄
  3-6. 김태숙의 지화장엄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태연 Kim Tae-yeon. 대구대학교 조형예술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