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ontents Development of Process for Digital Culture Industry
초록
영어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era, the fields where historic knowledge and IT-based knowledge are shared seems to be related to digital contents. The 21st century aims at the production of originative knowledge cultures capable of creating necessary contents for the knowledge-based society by combining accumulated knowledge with the relevant sciences. Content cre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is more crucial in the digital era. Especially, to develop suitable contents for cultural feature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the strategic processes of content creation are required. Thus,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into such processes intended to develop and standardize appropriate contents for the range and roles of the culture industry, and the tastes of content user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content creation processes which enables to develop effectively desired One Source Multi-Use (OSMU) contents so that the source of culture can be converted into the culture industry, and additionally, to standardize such the processes appropriately for the traits and patterns of users desiring new contents so that they can be applied to the model framework.
한국어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사회가 다가오면서 역사의 지식과 IT기반지식을 공유하는 분야가 디지털콘텐츠에 관련된 학문이라고 생각된다. 21세기는 축적된 지식과 관련학문을 접목시켜 지식 기반사회에 필요한 내용을 창출해 내는 창조적인 지식문화 생산을 목표로 삼고 있다. 디지털 문화시대에는 수용자 특성에 따른 콘텐츠 발상은 매우 중요해 졌다. 특히 문화적 특성과 수용자특성에 맞는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발상 프로세스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문화산업의 범위와 역할, 그리고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콘텐츠 수용자들의 기호에 맞게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고, 표준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상프로세스의 학문적인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문화의 원천소스를 문화산업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발상프로세스에 적용하여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원소스멀티유스(OSMU)의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콘텐츠발상프로세스를 개발하는데 있다. 또한, 새로운 콘텐츠를 원하는 수용자의 패턴과 성향에 맞도록 개발하는 표준화를 찾아서 프로세스의 모형 틀에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본연구의 내용이다.
목차
Abstract
1. 서 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과 범위
2. 이론적 배경
2.1. 문화산업과 문화기호 변화
2.2. 콘텐츠의 기호변화
2.3. 콘텐츠 발상 프로세스 요건
2.4. 콘텐츠 발상 프로세스의 필요성
3. 콘텐츠발상 조건과 사례
3.1. 콘텐츠 범위와 영역
3.2. 콘텐츠 플래너와 발상조건
3.3. 콘텐츠의 발상 접근과 프로세스 요소
3.4. 프로세스 사례 및 분석
4. 콘텐츠 발상요소의 제안
4.1. 콘텐츠 발상을 위한 프로세스 요소
4.2. 콘텐츠발상과 컨셉 설계 요소의 제안
4.3. 콘텐츠발상 프로세스의 목적
5. 발상 프로세스의 제안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