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Interface Design of Personal Media in Korea - Focusing on Layout Template Cases in Web 2.0 Environment -
초록
영어
Personal media became generalized as participation and sharing have been emphasized in the age of Web 2.0. In order to visualize the personal media, various interface design elements are required. Layout design is studying how to arrange these interface elements on a display. For interface design, it is important to make its contents predictable and look logical.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personal media in Korea focusing on interface design and layout. In connection with the above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into interface of web content and elements of layout, and analyzed a successful case model through a preference survey for domestic personal media. Contents of the most preferred domestic personal media is divided into personal contents tendencies and information contents tendencies, and its visual arrangement of interface was designed to contain these contents tendencies. Provision of layout template can be interpreted as a tool for this function. On the contrary, new personal media providing high degree of freedom in interface design to users to contain various contents tendencies are not producing good results in spite of their large number of existing members. Perhaps, this is because they failed to recognize limitation of expression of personal media that both producers and directors are individuals. Accordingly, it is the researcher's position that provision of design for expressing various contents tendencies should be excluded while emphasizing pursuing identity. That is, a mistake providing too high degree of freedom in design should not be made at the time of interface design because personal media has limitation in which individuals are producers and the main bodies of expression. Also limited layout template considering convenience from general users' viewpoint should be provided. Like this, personal media should have distinctness emphasizing contents tendency to be pursued and a precondition of interface whose aura can be clearly recognized. The researcher also suggests that personal media should design and develop layout template taking into account limitation of expression of general users in order to be chosen by users consistently.
한국어
웹2.0 시대를 맞아 참여와 공유가 강조 되면서 1인 미디어가 보편화되었다. 1인 미디어를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가 필요하다.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개별적 요소를 화면상에 어떻게 배합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것이 레이아웃 디자인이다. 인터페이스 설계 시 레이아웃은 콘텐츠 성향 예측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며, 논리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레이아웃의 관점으로 국내 1인 미디어를 연구하려 한다. 웹 콘텐츠의 인터페이스와 레이아웃의 구현 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 1인 미디어의 선호도 조사를 통한 성공사례 모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가장 선호하는 국내 1인 미디어는 개인콘텐츠 성향과 정보콘텐츠 성향으로 나뉘며, 콘텐츠 성향을 내포하여 이용되도록 유도하는 인터페이스의 시각적 배치를 보인다. 그러한 기능의 도구로써 레이아웃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다양한 콘텐츠 성향을 담기위해 사용자들에게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높은 자유도를 제공하는 새로운 1인 미디어의 출현 사례를 보면, 기존 많은 회원을 보유했음에도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는 생산자와 연출자가 개인이라는 1인 미디어의 표현의 한계를 인지하지 못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에 논자는 다양한 콘텐츠성향을 표출하기 위한 디자인 제공은 배제하고 아이덴티티 추구를 강조해야 한다고 논하는 바이다. 즉, 1인 미디어는 개인이 생산자이며 표현의 주체라는 한계성으로 인해 인터페이스 설계 시 디자인의 높은 자유도 제공과 같은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되며, 일반 사용자 입장의 편의성을 고려한 제약된 레이아웃 템플릿을 제공하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듯 1인 미디어는 추구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성향을 강조한 차별화가 명확하게 인지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전제성을 지녀야 하며, 보편적 사용자의 표현의 한계성을 감안한 레이아웃 템플릿을 설계하고 개발해야만 사용자들에게 지속적인 선택을 받을 수 있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1인 미디어의 이해
2-1. Web 2.0과 1인 미디어
2-2. 1인 미디어의 특성
3.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레이아웃의 구현요소 고찰
3-1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개념과 구현요소
3-2 레이아웃 디자인의 구현요소
4. 국내 1인 미디어 분석
4-1 국내 1인 미디어의 레이아웃 특징 분석
4-2 콘텐츠 성향별 사례 분석
4-3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