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기 유럽과 한국의 아르누보 도자 양상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spects of modern ceramics regarding with Art Nouveau of Europe and Korea

김연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ooking into the history of ceramic arts finally means dealing with the history of human life. That is, it means we have to understand the ceramic arts of human history as well as country, race and region multilaterally. In order to properly know culture of ceramic arts regarded as a standard unit of contemporary culture, we need to understand political, economical, social, cultural,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current of the times.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ceramic arts should be conducted in point of view based on regional and periodic characteristics. Art Nouveau movement at least theoretically has played a role in 'countermovement' or 'obstructer' which helped to grow rapidly since 1918 and throw away obsolete customs of 19th century society. In this point of view, Art Nouveau has occupied such an important position though it is not a historical mainstream. Around 20th century, the revolution of ceramic arts is breaking out silently than most of other decorative arts. Modern age was the time when feudal society changed into civil society and production system of handicraft into that of mass mechanized simultaneously due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Western society. At this side, I want to study ceramic arts of former period of 19th century profoundly, with Art Nouveau ceramic and ceramic arts as central figures.

한국어

공예의 역사를 살펴본다는 것은 궁극적으로 인류의 생활사를 다루는 작업이다. 즉 인류의 역사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국가, 민족, 지역에 따른 공예 문화를 다각적인 시각에서 연구해야 하는 매우 방대한 일이다. 오늘날 문화의 기본 단위로 간주되는 국가나 민족의 공예문화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지역의 특수성, 시대정신의 흐름을 이해해야 한다. 아르누보 발생 배경인 유럽의 아르누보 운동의 일 경향과 우리나라 근대기 도자 및 공예 전반의 상황을 살펴보고 새로움을 향한 정신과 의의를 알아본다. 그리하여 오늘날 도자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 및 범위
 2. 본론
  2-1. 19C 전기 유럽의 도자와 아르누보의 발생 배경
  2-2. 아르누보 운동과 도자
  2-3. 한국 근대기의 도자 및 공예 전반의 상황
 3.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연화 Kim Youn-hwa. 서울산업대학교 도자문화 디자인학과(Dept. of Ceramic Arts &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