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오픈 시스템을 적용한 프로젝트 아이덴티티 프로그램의 개발 -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Development of an open system applied project identity program - A case of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project

이현주, 박영순, 정의철, 이성식, 이지현, 주혜영, 김소연, 박영진, 홍자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recent increase in mankind’s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many projects related to environmental preservation are being implemented and numerous design results from these projects are being presented. But many projects terminate as a one-time event and, even in economic terms, often lead to losses. In the case of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project, which require continued persistence and nationwide transformation of people’s awareness, there is a need to move away from a simple identity program that ends as a one-time event and to develop a project identity program based on an open system concept allow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the system tailored to given situations. Based on examples of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projects,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and the plan for actual application of an effective project identity as a public communications tool.

한국어

최근 들어 환경에 대한 온 인류의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환경보존과 관련된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그에 따라 많은 디자인 결과물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프로젝트들이 단발성으로 끝남으로 인해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손실을 주는 경우가 있다. 환경부의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은 멸종위기종의 대상이 계속적으로 바뀌면서도 일관성 있는 프로젝트의 고지와 범국민적 의식의 전환이 필요한 장기 프로젝트이다. 이 같은 프로젝트의 경우, 단발성으로 끝나는 기존의 아이덴티티 프로그램보다는 상황에 맞추어 계속 적용 가능한 열린 구조의 프로젝트 아이덴티티의 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을 사례로 대국민 커뮤니케이션의 툴로써 효과적인 프로젝트 아이덴티티의 방향 및 실제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1.2.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의 개요
 2. 프로젝트 아이덴티티 프로그램의 도출
  2.1. C.I.P (Corporate Identity Program)
  2.2. P.I.P (Project Identity Program)
 3. 프로젝트 아이덴티티 프로그램의 개발
  3.1. 프로젝트 컨셉 설정
  3.2. 관련 사례조사
  3.3. 구성요소 도출
 4. 프로젝트 아이덴티티 프로그램의 적용
  4.1. 오픈시스템 도출과 적용방법
  4.2 적용 결과
  4.3 오픈 시스템이 적용된 P.I.P의 장점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현주 Lee, HyunJu.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Dep.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College of Human Ecology, Yonsei University)
  • 박영순 Park, YoungSoon.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Dep.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College of Human Ecology, Yonsei University)
  • 정의철 Jung, Eui-Chul.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Dep.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College of Human Ecology, Yonsei University)
  • 이성식 Lee, SungSik.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Dep.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College of Human Ecology, Yonsei University)
  • 이지현 Lee, JeeHyun.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Dep.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College of Human Ecology, Yonsei University)
  • 주혜영 Chu, HyeYoung.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Dep.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김소연 Kim, SoYoun.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Dep.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박영진 Park YoungJin.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Dep.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홍자경 Hong, JaKyung.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Dep.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