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과 문제해결의 후향적 관점

원문정보

Backward Approach of Problem Solving in Social Studies

황인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revisit problem solving in social studies. Generally speaking, problem solving has been understood as an educational theory since the formation of social studies. An educational theory, in principle, is close to an explanation of some kind of real educational situations. I invested my energy in social studies theorists for the logic of problem solving. They are bound together by the common interest that problem solving is to be grasped in relation with improvement of and prescription for social problems. Hence problem solving has been understood as means for socialization. There is no doubt that educational theories accord with activities to improve and prescribe for some situations or faculties. Nevertheless, it has to be pointed out that educational theory should relate itself to educational situations. This study considers it ?ractical theory? ?ractical theory?is related to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real educational situation. An example is examination of what students acquire to his vision or faculty through social problems or social studies knowledge. This study calls it ?ackward approach?to problem solving. It is very important that backward approach continues to push boundaries of problem solving. In conclusion, the fulfillment of the purpose of problem solving can be achieved by social studies teacher and real teaching. Hence we must continuously try to study the presuppositions and implications in real problem solving. This study aims only to expose the means and values of problem solving.

한국어

문제해결은 보편적으로 사회과를 관통하는 교육이론으로서 인정되고 있다. 성격상, 교육이론은 교육 사태에 대한 모종의 설명과 깊숙이 관련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교육이론으로서 문제해결은 실지 사회과 수업을 설명하는 ‘실제적 이론’으로서 간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통하여 고찰한 사회과 이론가들은 문제해결을 모종의 실지 사태에 대한 처방이나 개선을 위한 것으로 파악한다. 그리하여 문제해결은 사회화와 대비하여 수단-목적 관계로 파악되고, 그러한 관계는 문제해결이 갖고 있는 고유한 교육적 설명을 드러내는 데 한계를 지니게 된다. 물론 일반적인 교육 행위는 모종의 능력이나 태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해 여러 수단이나 방법이 동원되는 처방적 활동의 성격을 띠게 마련이며, 또한 그것으로 인하여 교육 행위가 정당화 된다고 말할 수 있다. 다만, 본 글을 통해서 필자는 그러한 모종의 처방이나 개선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혹은 그러한 처방이나 개선이 원래의 목적대로 유용성을 발휘하기 위해서 논리적으로 선행되지 않으면 안 되는 이론적 설명이 있어야 한다고 본다. 그것은 가령, ‘도대체 사회과 수업을 통하여 학생은 문제해결 능력을 어떻게 획득하게 되었는가’,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것은 어떤 상태를 말하는가’ 등과 같은 질문들이 초점이 된다. 본 글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해결과 관련된 핵심 질문들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문제해결의 후향적 관점으로 간주한다.

목차

요 약
 Abstract
 I. 머리말
 II. 문제해결 선행 논의 고찰
 III. 후향적 관점에 대한 시론적 고찰
  1.‘ 실제적 이론’으로서의 교육이론
  2. 문제해결의 후향적 관점
 IV.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황인석 Hwang, In-Seok. 부천초등학교(Bucheon Elementary School)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