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문화 역사학습:‘ 기억의 역사’를 통한 비판적 접근

원문정보

Multicultural History Learning : A Critical Approach through the ‘History ofMemory’

민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a critical approach based on the ?istory of memory?was attempted for essentia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phenomena. As the theoretic bases for this study, the history as a discourse, critical approach of history and multicultural history learning were examined. With the direction and the goals for multicultural history learning established, several programs were suggested to apply critical history approach. In dealing with multicultural history and critical history, the reason to emphasize memories is that the history of minorities which could not have been written as history remain alive only by the memories. Therefore, we need to examine critically the way we obtain and maintain memories, and the way we should accomodate and interpret them in the light of cultural memory. Three programs were suggested for multicultural history learning; ‘Aliens Having Lived Together’, ‘Politics for Historical Memory- the Case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 and ‘A Sacrifice for Fatherland- Modern Monuments’. The first program includes a consideration and a comparison of the processes and difficulties the historical aliens such as Cheo yong in Silla dynasty, Lee Ji-Ran and Park Yeon in Chosun dynasty, had to gone through in the settlement. The second program compares and analyzes the perspectives of textbooks and newspapers on the issue of Japanese sexual slaves and the ways in which a historical fact is recalled collectively. Examining the monuments in the National Cemetery for the April 19th, May 18th National Cemetery and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the third program attempts a critical analysis of how the historical events have been memorized . Not only students may find some problems of the concepts of homogeneous nation emphasized in Korean history, but they will also understand the universal sense of multicultural feature with these programs. Moreover, they can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collective and private memory in the process of recording the past events and obtain the opportunity to evaluate, with a critical perspective, the history written in accordance with the discourse of a dominant group.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propose that multicultural research could be carried out better when it was done within the context of time and memory instead of focusing on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현상들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를 위해 ‘기억의 역사’에 바탕을 둔 비판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담론으로서의 역사와 비판적 역사접근, 기억으로서의 역사 및 다문화 역사학습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 아울러 비판적 역사접근 다문화교육을 적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고, 프로그램을 실제로 제안하였다. 다문화 역사, 비판적 역사를 다루면서 기억이 강조되는 까닭은 역사화 되지 못하고 뭍혀 있던 소수자들의 역사는 ‘기억’으로 남아 명맥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나간 것을 형상화하고 그에 대한 기억을 어떻게 간직해야 하는지, 문화적 기억의 차원에서 어떻게 수용하고 해석되어야 하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모두 세 개의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는데, 첫째는 ‘함께 살아온 이방인들’, 둘째는 ‘역사적 기억으로서의 정치-일본군 위안부를 사례로’, 그리고 셋째는 ‘조국을 위한 희생-근대기념물에 대하여’이다. 첫째는 신라시대의 처용과 조선시대의 이지란, 박연 등 이방인들이 정착하게된 과정과 어려움을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서로간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둘째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교과서, 신문 등에서 다루어지는 관점을 비교·분석하고 하나의 역사적 사실이 집단적으로 기억되는 방식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셋째는 4.19묘역과 5.18 민주화 묘지, 그리고 독립기념관에 설치된 기념물들을 대상으로 역사적인 사건이 기억되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학생들은 한국사에서 강조하는 단일 민족 개념의 문제점을 이해할 수 있음은 물론 보편적인 의미의 다문화적인 속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과거의 사건이 기록되는 과정에서 집단의 기억과 사적인 기억이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고, 지배 집단의 담론에 따라 기록된 역사를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된다. 아울러 그간 주로 현대의 사회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온 다문화 연구가 시간과 기억의 맥락에 따라 이루어질 때 보다 의미있게 전개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했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목차

요 약
 Abstract
 I. 서 론
 II. 역사학습에 대한 다문화적 접근
  1. 담론으로서의 역사와 비판적 역사접근
  2. 기억으로서의 역사
  3. 다문화 역사학습
 III. 비판적 역사접근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의 방향과 실제
  1. 다문화 역사학습 프로그램의 방향과 목표
  2. 다문화 역사학습의 사례
 IV. 결 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민윤 Min, Yun. 도일초등학교(Doil Elementary School)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