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사회의 변화에 따른 개신교의 변화와 그 이념적 분화

원문정보

The Changes and ldeological Ramifications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Korean Society.

조창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ideological ramifications of the faith and the Korean church history according to the Korean society changes. The main methodology is a historical study on Korean Protestant church. The six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ly,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was the driving force for transforming and reorganizing the structure of the Korean society. The teaching of Protestantism brought the organized growth of several reform and anti-Japanese nationalism movements. Secondly, conservative belief movement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was a part of non-political strategy of missionar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ospel-based conservative faith movement was brought about gradually seperating Korean church from the Collaborationist Activities in continuation with the 1907 big revival movement as a way of depoliticizing strategy by the missionaries. Thirdly, after the Japanese colony ended, the fundamental change of the Korean church were driven by the influencing power of individual missionaries and the role of each missionary departments.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ing Korean society, the Protestant church became a gateway to the american culture. After the Japanese colony ended, the entrance to Korea and action of each missionary have given Korea great opportunity for church mission and brought about fundamental changes on the Korea churches. Fourthly, after Korean war, a believer group of Protestant church has played a key role in firming up a system of anti-communist pro-american conservatism. The formation of the anti-communist conservatism in South Korea curch was accelerated by christians from North Korea. During the three-year U.S military occupation the U.S administration authorities and the Protestant churches of Korea shared a common task of eradicating the Communism force. Fifthly, materialism and Mega-Church syndrome of the Korean Church were accompanied with dictatorship in the 60s and 70s, which heavily emphasizes on economic growth. Rapid social change was made in this period in the name of national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Sixthly, The remarkable feature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is that increase rate of new believers reduced in the 80s and quantitative growth in 90s became very sluggish. Criticism arose on the Korea churches with regard to the materiallism, pray to God only for mercy, indifference to the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unreasonable and undemocratic factors within church with ever-growing problem of delayed church growth and the public mistrust.

한국어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사회 변화에 따른 한국 교회의 역사와 신앙이념의 분화를 설명하는 것이다. 주된 연구방법은 역사적인 방법으로 한국 개신교의 변화와 분화를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여섯 가지의 요점을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국 개신교는 구한말에 들어와서 조선사회의 밑바탕을 재구성하는 변형적 에너지가 되어 한국 사회의 변화의 동력이 되었다는 점이다. 개신교의 가르침으로 여러 개혁운동과 반일 민족주의 운동 세력의 조직적인 성장을 가져오게 하였다. 둘째, 한국 개신교회가 보수주의 신앙운동으로 변화한 것은 선교사들의 비정치화 전략의 일환이었다는 것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선교사들이 비정치화 전략의 일환으로 실행된 1907년 대부흥운동의 맥을 이어 한국 교회를 점차 민족문제에서 분리시켜나갈 복음적 보수주의 신앙운동이 일어났다. 셋째, 해방 이후 한국 교회의 근본적인 구조변화는 각 선교부의 역할과 선교사들의 영향력으로 비롯되었으며, 근대화의 과정에서 개신교는 미국문화 유입의 통로가 되었다. 해방 후 각선교부의 입국과 활동은 한국 교회는 선교의 호기(好機)를 갖게 되었으며, 한국 교회의 구조에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하였다. 넷째, 한국전쟁이후 개신교 신자집단들은 친미보수 반공체제가 형성되고 고착화되는 과정에서 핵심세력의 하나로 역할을 하였으며, 월남한 기독교인들로 인하여 남한교회들이 보수반공화가 촉진되었다. 미 군정기에는 미군정 당국과 한국 개신교는 공산주의 세력의 척결이라는 공통의 과제를 공유하게 되었으며, 북한에서 공산정권의 탄압이 가혹해지면서 많은 기독교인들이 월남하여 월남 기독교인들로 인해 남한교회 내의 보수반공화가 촉진되었다. 다섯째, 한국 교회의 물량주의와 양적성장주의는 60-70년대의 개발독재체제의 국가 이데올로기인 성장제일주의의 영향으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이시기에는 개발과 근대화의 미명 아래 급격한 사회변동을 초래하였다. 여섯째, 한국 개신교의 두드러진 특징은 80년대의 신도증가율의 둔화되고, 90년대 양적 성장의 지체가 뚜렷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는 것이다. 교회의 성장지체 및 교회의 공신력 저하문제가 크게 부각되면서 물량주의적이고 기복적이며 사회책임에 대한 무관심, 교회 내의 비합리적이고 비민주적 요소에 대해 비판의 소리가 높아졌다.

목차

초 록
 Ⅰ. 들어가는 말
 Ⅱ. 개신교의 역사적 전개
  1. 맹아기(1884-1910)
  2. 독립운동과 신사참배 저항기(1910-1945)
  3. 이념․교파 생성과 교회 분열기(1945-1960)
  4. 성장기(1961-1979)
  5. 침체기(1979-2008)
 Ⅲ. 개신교 신앙 사상의 이념적 분화
  1. 보수주의 수용과 신앙양상
  2. 진보주의 내용과 신앙양상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창연 Changyeon Cho.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