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호위해행위에 대한 인지과학적 분석의 필요성 고찰-과학적·예방적 사회안전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원문정보

The Necessity of A Cognitive-scientific Analysis on A Security- threat Act -The Foundation for A Establishment of The Scientific Preventive Social-security Countermeasure-

김두현, 손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 to dictionary, the meaning of protection is "guard and protect" that means protecting the Protectee's safety in case of sudden attack or various accident and Security means all protecting activity including Protectee and place where he is in or will be as comprehensively meaning of safe.As you see in the definition, Protection and security is the act to protect or will to protect from a security-threat act. A security-threat act can be discussed in the range of the concept of a criminal act in Criminal Law. A security-threat act is based on criminal act in Criminal Law, we are going to review such a security-threat act in a point of view in a sphere of learning in today's remarkable a brain-neuro science and cognitive science based on cognitive psychology, and to use an analysis on such a security-threat act to make a foundation for a establishment of the scientific preventive social security countermeasure.To do so, First of all we are going to review a security-threat act based on criminal act in Criminal Law in a point of protection police logic view. Next, we are going to introduce how cognitive science understand about act of man before we analyse a threat act as one of an act of man in cognitive science point of view. Finally, we are going to discuss the need of cognitive scientific analyse in order to establish the Scientific Preventive Social-security Countermeasure at the same time we are going to analyse a threat act in a cognitive scientific view.

한국어

일반적 사전적 의미에 의하면, 경호는 “경계하고 보호함”을 뜻하는 것으로, 이는 불의의 침입이나 다양한 사건 사고로부터 경계하여 경호대상자의 신변을 보호하는 것을 의미한다.이러한 개념정의에서도 볼 수 있듯이 경호는 모두 위해행위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경호위해행위는 본질적으로 형법상의 범죄행위의 개념 범주에서 논의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형법상 행위를 본질로 하는 이러한 위해행위를 오늘날 주목되어지고 있는 뇌신경과학과 인지심리학에 기반을 둔 인지과학이라는 학문영역의 관점에서 재조명 해보고, 이러한 경호위해행위에 대한 분석을 과학적․예방적 사회안전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로서 삼고자 한다.이를 위해 먼저 범죄행위를 그 본질로 하는 경호위해행위에 대해 경호학적 관점과 형법적 관점에서 검토고자 한다. 다음으로 경호위해행위도 인간행위의 한 형태이므로 이를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기에 앞서 인지과학이 행위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소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행위에 대한 인지과학적 관점에 의해 경호위해행위를 분석하면서, 과학적 안전대책 수립을 위한 인지과학적 분석의 필요성을 논하고자 한다.

목차

<요 약>
 I. 서 론
 II. 인간행위에 대한 인지과학의 이론적 고찰
  1. 인간의 마음과 행위에 대한 과학적-구조주의적 접근
  2. 마음의 작용에 대한 정보처리적 개념 설정
 III. 인지과학적 관점에 의한 경호위해행위 분석
  1. 경호위해행위의 다양화 및 흉포화 경향
  2. 형법상 행위에 대한 개념변화의 분석
  3. 형법상 행위에 대한 인지과학적 관점에서의 분석
 IV. 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두현 Kim, Doo-Hyun. 한국체육대학교 안전관리학과 교수, 법학박사
  • 손지영 Son, Ji-Young.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선임연구원, 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