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새로 발굴한 가사체 <춘향전>에 대하여

원문정보

On the Newly-Discovered Gasa-Style <Chunhyangjeon>

구사회, 이수진, 양지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eeks to provide an overview on the newly-discovered manuscript in gasa style.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entire in gasa style has not been seen before, although occasionally scripts incorporate sijo or gasa as inserted songs. The author of this manuscript is believed to be Bae Hyung (裵珩: ?-?), who lived in Daegachon, Yongdu-Myun, Sunchon-Gun in Jeonra-Namdo Province. It is estimated that the manuscript was written in April of King Gojong 37 years (year 1900). This , so-called the Yang Jee-Uk Collection Script, applies Samdan Pyunun Daewoo Method (三段片言對偶法), using Jongbae style (縱排法) to over 27 pagesof the book. The author seems to have collected the main scenes of and changed them into gasa style. It is also possible to postulate that the author might have simply divided the lines to make it resemble the existing gasa style, as the original was already in the form of lyrics. There are a few mistakes found in the manuscript. They seem to have been made while the author was recording the sung P’ansori, rather than while copying from a different manuscript.

한국어

이 논문에서는 새로 발굴한 가사체 <춘향전>을 소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춘향전>은 민요나 잡가, 시조나 가사 작품이 삽입가요로 쓰인 경우가 있었어도 작품 전체가 가사체로 바뀐 경우는 일찍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번에 나온 가사체 <춘향전>, 일명 양지욱본 <춘향전>의 작자는 서책의 이면에 기록된 내용으로 보아서 전남 순천군 용두면 대가촌에 살았던 배형(裵珩: ?-?)으로 추정된다. 지어진 시기는 아직 확실치 않지만 고종 37년(1900) 4월로 추정하였다.<춘향전> 서책의 27면에 걸쳐서 종배법(縱排法)에 의해 삼단편언대우법(三段片言對偶法)으로 표기되어 있다. 특정 장면만을 모아서 아예 가사체로 바꾼 것이라는 특징이 있어 <춘향전>이 가사로의 양식적 변모를 시도했던 사례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측면은 <춘향전>이 율문에 가깝기 때문에 행가름만 하면 그 자체로서도 가사체와 다를 것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표기법은 국문과 한자, 그리고 이두를 뒤섞어 사용한 국한이자혼용법(國漢吏字混用法)을 사용하고 있다. 작품에는 잘못된 표기도 많은 편인데, 그것은 이본을 베끼는 과정에서 잘못 적어서 발생한 것이 아니다. 작자가 판소리를 현장에서 직접 듣고 기록하는 과정에서 소리를 따라 기록하다가 빚어진 것으로 보인다.서사 진행에 있어서는 다른 이본들에 비해 과감한 생략이 뒤따르거나 반대로 확대되는 경우가 있다. 유연한 서사 진행보다는 주요 장면을 부각하여 집중하는 편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양지욱본 <춘향전>은 11장면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지욱본 <춘향전>은 과거 장면 이후로 생략되어 있어서 미완성 작품이다. 그리고 이것은 작자로 추정되는 배형이라는 사람이 애초에 소설을 염두에 두고 기록한 것이 아니라, 판소리를 듣고 그 가운데 문장이나 표현이 빼어난 부분을 골라 적은 작품으로 추측된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가사체 <춘향전>의 자료 검토
 Ⅲ. 가사체 <춘향전>의 문예적 검토
  1. 형태적 측면
  2. 내용적 측면
  3. 문학적 가치
 Ⅳ.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구사회 Gu Sa-Whae. 선문대학교 교수
  • 이수진 Lee Su-Jin. 선문대학교 강사
  • 양지욱 Yang Jee-Uk. 선문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