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Park Se-dang who has the pen name of Seogye is a man in the 17th century. Then, Joseon Dynasty is try to restore the state which became impoverished by two wars. When Sung Confucianism of Chu-tz was dogmatized, Seogye analyzed independently the scriptures and was regarded as a traitor against Sung Confucianism.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d the understanding of Seogye's works and its social reflection through the research data about Seogye. Although Seogye has blue blood in his veins, he belonged to a non-mainstream group in the faction of Seo-in and had a liberal inclination. That he has shuned in the school of Sung Confucianism owed to Sabyeunrok of his work, and its main reason is his criticism against Song Si-yeul. He argued the two principles different from Chu-tz's three principles. Also, he not accepted the Chu-tz's theory and was similar to the Wang Yangming school in the issue of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Now to conclude, Seogye outstretched the liberal inclination in Sung Confucianism apart from the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He was not indulged in Sung Confucianism of Chu-tz that was gradually ossifying at that time and took his own line. And he devoted himself to the study of practical learning and the education for younger scholars, and had acted as mediator between the Sung Confucianism of Chu-tz and the Practical Science that was in full bloom in the period of King Young-jo and King Jeong-jo.
한국어
본 논문는 기왕(旣往)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의 사변록(思辨錄) 중 대학(大學)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사회적 반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서계 박세당은 조선 중기에 해당하는 17세기 중후반에 주로 활동한 인물로 그의 독창적인 경학관으로 인해 사문난적(斯文亂賊)으로 몰려 배척받았다. 그러나 그가 사문난적으로 지탄을 받은 것은 사변록을 둘러싸고 이루어지지만 본질은 그가 <이경석신도비문>을 짓는 과정에서 송시열을 비판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는 주자가 대학을 3강령 체제로 보았던 것과 달리 2강령 체제를 주장하였으며, 격물치지에 있어서도 주자의 설을 수용하지 않고 양명과 유사한 해석을 가하였는가 하면 대학의 장구도 자의대로 개정하였다. 그가 지은 사변록이 쟁점화된 것은 그것이 발표된 뒤 수십 년을 지난 뒤, 그것도 이경석비문이 나온 후라는 점에서 다분히 정치적 의도 하에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가 대청관(對淸觀)이나 예송(禮訟) 따위에서 현실적인 입장을 견지하여 송시열계와 대척적인 입장에 섰던 점도 그에 대한 공격의 빌미가 될 수 있었다.경문의 해석상 서계의 견해가 옳고 그름을 떠나서 그는 나름대로 학문 본래의 자유를 만끽할 수 있었다. 그는 당시 경직화된 주자성리학에 매몰되지 않은 채 독자적 노선을 걸으며 실질적 학문에 정진하고 후학을 양성함으로써 영정(英・正)시기에 만개되는 실학의 가교적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西溪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Ⅲ. 西溪의 大學認識과 그를 둘러싼 논쟁
Ⅳ.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