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CSR as it appeared in main Korean newspapers with a premise that media’s language usage influences the formation of publics’ perceptions of specific issues. A total of 785 articles were sampled and analyzed. The media representa-tions of the term CSR include the followings: objective use(58.1%), social achievement of corporations(14.9%), a utilitarian business function(12.7%), community and social expectation(9.7%), spinning and PR(2.7%), and specialty and profession(2.1%). This study also analyzed whether there was a change in how CSR was reported in the newspapers between 2000 and 200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articles containing the word CSR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65 in 2000 to 2,101 in 2008. Also, it was revealed that the frequency of ‘introduction of the concept’ has drastically decreased while the frequencies of ‘objective use’ and ‘social achievement of corporations’ have increased. The tone of the articles became more neutral while a negative tone has started to appear.
한국어
본 논문은 언론이 사용하는 언어는 특정 주제나 사안에 관한 공중들의 인식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전제하에, 한국 언론이 기업의 CSR 활동에 대해 어떻게 보도하는지를 분석하였다. 2000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11일까지의 기사를 검색하여, 이 중 총 785건의 기사를 분석하였다. 기사들은 객관적 용어(58.1%), 기업 성취의 증거(14.9%), 실용주의 비즈니스 기능(12.7%), 사회기대에 부응치 못함(9.7%), 사기 및 PR 전략(2.7%), 전문분야 혹은 전문직으로서의 CSR(2.1%) 등의 의미를 CSR이란 단어에 투영시키고 있었다. 기사의 전반적인 어조를 분석해 본 결과 긍정적인 의미로 쓰인 기사가 24.4%, 중립적인 의미를 지닌 기사는 65.4%, 부정의 의미로 쓰인 기사는 10.1%였다. 2000년과 2008년도의 연도별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 2000년 265건이던 기사 빈도가 2008년 (12월 11일 현재) 2,101건으로 급격하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2000년도 기사들의 주요 의미는 ‘용어의 객관적 사용’ ‘기업 성취의 증거’ ‘사회 기대에 부응치 못함’ 이었던 데 반해 2008년도에는 ‘용어의 객관적 사용’ ‘실용주의 비즈니스 기능’ ‘기업 성취의 증거’ 등의 의미가 많이 쓰였다. 2000년과 2008년에 게재된 CSR 관련 기사의 전반적인 어조를 비교해 본 결과, 2000년에는 대부분 긍정적이거나 중립적이었던 어조가 2008년에 와서는 중립적으로 정립되었고 미약하기는 하지만 부정적인 시각도 대두되고 있었다.
목차
1. 서론
2. 문헌연구
1) 언론의 역할
2) 언론에 투영된 PR
3) 언론에 투영된 CSR 활동
3. 연구방법
1) 모집단 및 표본
2) 분석 설계
3) 분석 유목의 조작적 정의
4. 연구 결과
1) CSR 관련 기사 의미의 범주화
2) CSR 관련 기사의 어조
3) 2000년도와 2008년도의 CSR관련 언론 보도 비교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참고문헌
- 1비영리조직을 통한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 : 씨티그룹 중심 사례 연구earticle 원문 이동
- 2박종민 (2000). 한국 일간지 기사에 쓰인 ‘홍보’ 단어의 의미분석. 광고연구, 48호, 7~26.
- 3삼성경제연구소 (2004). 윈윈전략으로서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시사점.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 4신경립 (2007. 9. 5). 기업 지속성장을 위해선 사회적기여 강화해야. 서울경제신문, 5.
- 5오철수 (2008. 7. 16). 재계 사회적 책임활동 대폭강화. 서울경제신문, 11.
- 6The Shifting Portrayal of Public Relations in Korean Newspapers:A Comparison of 1990 and 2000 Articles containing the word 'PR'earticle 원문 이동
- 7A Longitudinal Study of Agenda Setting for the Issue of Environmental Pollution네이버 원문 이동
- 8Agenda Setting and the "New" News: Patterns of Issue Importance Among Readers of the Paper and Online Versions of the New York Times네이버 원문 이동
- 9Baron, M. J., Miyazaki, A. D., & Taylor, K. A. (2000). The influence of cause‐related marketing on consumer choice:Does one good turn deserve another?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8, 248~263.
- 10Batstone, D. (2003). Saving the corporate soul– and (who knows?) maybe your own. San Francisco: Jossey‐B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