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심에서 방사능분산장치의 폭발로 인한 피폭선량 예측결과의 상호비교

원문정보

An Intercomparison of Model Predictions for an Urban Contamination Resultingfrom the Explosion of a Radiological Dispersal Device

황원태, 정효준, 김은한, 한문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ETRO-K is a model for a radiological dose assessment due to a radioactive contamination inthe Korean urban environment. The model has been taken part in the Urban Remediation WorkingGroup within the IAEA’s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EMRAS (Environmental Modeling forRAdiation Safety) program. The Working Group designed for the intercomparison of radioactivecontamination to be resulted from the explosion of a radiological dispersal device in a hypothetical city.This paper dealt intensively with a part among a lot of predictive results which had been performed inthe EMRAS program. The predictive results of three different models (METRO-K, RESRAD-RDD, CPHR)were submitted to the Working Group. The gap of predictive results was due to the difference ofmathemathical modeling approaches, parameter values, understanding of assessors. Even if final results(for example, dose rates from contamintaed surfaces which might affect to a receptor) are similar, theunderstanding on the contribution of contaminated surfaces showed a great difference. Judging fromthe authors, it is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on radioactive terrors as well as thesocial and cultural gaps which assessors have been experienced. Therefore, it can be known that theexperience of assessors and their subjective judgements might be important factors to get reliableresults. If the acquisition of a little additional information is possible, it was identified that the METRO-Kmight be a useful tool for decision support against contamination resulting from radioactive terrors byimproving the existing model.

한국어

국제원자력기구 (IAEA)가 주관하는 EMRAS (Environmental Modeling for RAdiation Safety) 프로그램의 도시오염 평가분과에서 설계한 가상의 도심에서 방사능 분산장치의 폭발로 인한 피폭선량 결과비교에 국내모델 METRO-K의 계산결과가 참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동 분과에서 수행된 수많은 계산결과 중에서 극히 일부분만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참가모델 (METRO-K, RESRAD-RDD, CPHR)이 수행한 예측결과의 차이는 다른 수학적 접근방식, 적용값, 평가자의 이해 등에 기인하였다. 비록 최종결과 (예로 영향을 주는 모든 오염표면으로부터 받게 되는 피폭선량률)는 유사할지 모르지만 오염표면 기여에 대한 이해등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평가자가 경험한 사회적, 문화적 차이 뿐 아니라 방사능테러에 대한 정보와 이해 부족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평가자의 경험과 주관적 판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방사능테러에 대한 약간의 추가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면 METRO-K는 기존 모델을 확장하여 만일의 경우 도심에서 발생할 수 있을지 모르는 방사능테러에 따른 대응행위 결정지원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음을 EMRAS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요 약
 I.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가. METRO-K의 개요
  나. 특정위치에 대한 피폭선량평가
  다. 공기커마의 적용
  라. 가상 방사능테러 시나리오
  마. 공기중 농도와 기준표면의 농도
  바. 대응행위
 Ⅲ. 결과 및 고찰
 IV. 결 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황원태 Won Tae Hwang. 한국원자력연구원(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정효준 Hyo Jun Jeong. 한국원자력연구원(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김은한 Eun Han Kim. 한국원자력연구원(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한문희 Moon Hee Han. 한국원자력연구원(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