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Memorial service Ah-ak music newly created in the Joseon dynasty King Sejong's era had 12 types of melody formats, and each format was equipped with 12 Gung/宮 units, resulting in a grand system of total of 144 musical pieces. Yet later, Gukjo Oryae-eui(1474) only showed 15 musical pieces, and Akhak Gwaebeom(1493) remained the same. These 15 musical pieces were a selection from the above-mentioned 144, 12 Gung units of "Hwangjong-gung 1", and 3 Gung units('Hyeobjong-gung, Imjong-gung, Hwangjong-gung') from "Hwangjong-gung 2". "Hwangjong-gung 1" was from the 'Yeongshin(welcoming spirits)' music 'Hwangjong-gung' inside 「Daeseong Akbo」, created by Im Wu/林宇 of the Mongol Yuan dynasty(元朝), and "Hwangjong-gung 2" was from a 'Songshin(sending off spirits)' music. In other words, the Joseon dynasty's memorial Ah-ak music since the days of Gukjo Oryae-eui used 'Hwangjong-gung'(part of the 'Yeongshin' 4 Gung units we can see in 「Daeseong Akbo」) and the 'Songshin music', altogether. It did not cause any problem for the Yeongshin and Songshin procedures themselves, but it became necessary to play Yeongshin music in all the other procedures as well, in quite a redundant fashion(having to welcome the spirits everytime).In the meantime, the memorial music for the Confucian shrine recorded in Akhak Gwaebeom dictates that 'Hwangjong-gung', 'Jungryeo-gung', 'Namryeo-gung' and 'Ichik-gung' to be played for the Yeongshin procedure, 'Namryeo-gung' for all Deung-ga occasions, 'Goseon-gung' for all Heon-ga occasions, and Songshin Hwangjong-gung for the 'Songshin' procedure. In other words, only 6 musical pieces out of 15 pieces of "Shiyong Abu Jaeak(時用雅部祭樂)" are used. And compared to its own root, the memorial music for the Confucian shrine newly established during King Sejong's reign, Yoengshin music is played at every procedure except the Songshin phase. This c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grave problems that continued to exist since the days of Gukjo Oryae-eui, and begs for a rectification.
한국어
조선조 세종대의 신제 제사아악은 12종의 선율유형이 있고, 매 유형에 12궁을 갖춤으로써 총 144곡의 방대한 규모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이후의 문헌인 국조오례의(1474)에 15곡으로 축소되어 나타나고, 악학궤범(1493)에서도 그것을 답습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 15곡은 세종대의 신제 제사악 144곡 중에서 “황종궁1”의 12궁과 “황종궁2”의 ‘협종궁’, ‘임종궁’, ‘황종궁’ 등 3궁을 발췌하여 이룬 것이다. 그리고 그 “황종궁1”은 元朝 林宇의 「대성악보」 중 영신곡 ‘황종궁’에서 온 것이고, “황종궁2”는 송신곡에서 온 것이다. 결국, 국조오례의 이후로 조선조의 제사아악은 「대성악보」의 영신 4궁의 하나인 ‘황종궁’과 송신곡을 운용한 격이 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영신과 송신에는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여타의 절차에도 영신곡을 연주함으로써 매 절차마다 신을 맞이하는 하는 격이 되고 말았다.한편, 악학궤범의 문묘제례악은 영신에 ‘황종궁’, ‘중려궁’, ‘남려궁’, ‘이칙궁’을, 모든 등가에 ‘남려궁’을, 모든 헌가에 ‘고선궁’을, 송신에 송신황종궁을 연주함으로써 “時用雅部祭樂” 15곡 중 6곡을 활용하고 있다. 이는 그 연원인 세종대의 신제 제사아악에 비추어 볼 때, 송신을 제외한 모든 절차에 영신곡이 연주되는 모순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고, 국조오례의 이후로 답습해온 바로잡아야 할 폐단의 하나로 지적할 수 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2.1. 악학궤범의 “시용아부제악”
2.2. 악학궤범 당시의 문묘제례악
3. 결 론
<참 고 문 헌 >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