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시대 도서장정(裝幀)에 나타난 일러스트레이션 고찰- 근대시대 문학도서 표지디자인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llustration in Book Design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Focusing on Book Cover Design of Modern Literature -

장수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llustration in the book cover design has an important position and will have a new part as a book design. However, the design that have a similar style is getting more and more on the market today. Therefore, we have to find a new way and study about illustration as a book design. In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a good way is to study history that has a similar environment and realize the value of them. The researcher studied the illustration in book design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at were published since the 1960's up to 1883's. Specific points are first, in Korean modern, people know the value of book design but book designers worked restrictive because of poor surroundings in the field of publication. Second, the book designers were painters who were famous and they described illustrations of book covers as their style of painting. Third, the styles have been changed from representational to abstract. Last, nevertheless, Western culture had coming, they were trying to express the forms of Korean's traditional images. In conclusion, we should study more information about them for our traditional illustration art and culture.

한국어

일러스트레이션은 책 표지디자인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표지디자인뿐만 아니라 북디자인으로서의 새로운 위상을 가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시중에 비슷한 스타일의 디자인이 넘쳐나면서 새로운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우리에게 지침이 되어주는 많은 방법 중에 하나는 비슷한 환경의 과거를 되돌아보고 그 가치를 재발견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직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개화기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발행된 근대 출판에서 활동했던 유명한 장정가들의 장정에 나타난 일러스트레이션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근대시대에도 장정의 개념이 인식되었으나, 열악한 출판인쇄 상황에서 작업영역은 표지에 국한될 수밖에 없었다. 둘째, 주로 당대 활동하던 화가들이 장정작업에 참여하였고, 그대로 장정에 화풍을 드러냈다. 셋째, 구상적인 회화에서 추상적이고 과감한 화면분할 등 점차 평면적인 현대적 디자인의 모습에 가까워졌다. 넷째, 서구문물의 영향으로 점차 전통방식이 사라지는 시기였음에도, 한국적 소재와 기법, 형식을 양장본에 접목시켜 우리전통의 맥을 잇기 위한 노력이 끊임없이 있었다. 새로운 것과 과거의 것을 조화롭게 받아들이고 전통의 맥을 잇기 위한 노력이 치열했던 근대시대의 장정의 가치가 재조명 되어야한다. 앞으로 더 많은 자료들이 발견되고, 미학적인 측면에서 연구가 깊이 이루어진다면, 우리나라 일러스트레이션을 비롯한 문화예술 연구기반에 큰 보탬이 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2. 연구 방법 및 범위
 2. 장정과 일러스트레이션의 관계
  2.1. 장정의 개념 및 정의
  2.2. 장정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의 역할
 3. 한국근대출판의 시대적 배경
  3.1. 개화기
  3.2. 일제기
  3.3. 광복기
  3.4. 육이오동란기와 그 후
 4. 장정의 시대별 일러스트레이션 표현분석
  4.1. 컨셉과 스타일
  4.2. 개화기
  4.3. 일제기
  4.4. 광복기
  4.5. 육이오동란기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수진 Jang, Soo Jin. 한국폴리텍1대학 커뮤니케이션디자인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