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處容 談論의 推移와 그 傳承의 問題

원문정보

Study on Variation of The discourse of CheYoung(處容) and Problems on its Tradition

처용 담논의 추이와 그 전승의 문제

박경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 insist that we should interpret the background story about CheYoung(處容) and CheYoungGA(處容歌) on the dimension of discourse rather than on the dimension of discriminating truth from falsehood. Although not a few researchers have trie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 of CheYoung(處容) in one direction in according to the context of SamGukYuSa(『三國遺事』), CheYoung written in a collection of works(文集) of Chosun appears in various images. In this thesis I examined 23 materials related to the background story about CheYoung(處容). They were considerably chosen from some of historic material and artistic material. Through analyzing 23 materials(related to CheYoung), I could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re are 3 views(horizons) about CheYoung(處容) that could be recognized as the Sea God, A faithful retainer(臣下) and A performer(廣大). This conclusion means that there exist some gaps among stories(23 material). I present what kind of horizon the image of CheYoung(處容) has been made upon, now that this kind of gap should be understood on the dimension of discourse rather than on the dimension of discriminating truth from falsehood. All the materials related to CheYoung(處容) including SamGukYuSa(『三國遺事』<處容郞 望海寺>) record could be divided in 3 groups. In materials <1>-<6>(Discourse of CheYoung 1 : Analyzed based on SamGukYuSa<三國遺事> record), CheYoung(處容) was identified as the Sea God. All the story of that material is focused on the divinity of CheYoung. On the other hand, In materials <7>-<14>(Discourse of CheYoung 2 : Analyzed based on <高麗史> record), CheYoung was identified as a subject in the nation. All the story of that material is focused on CheYoung‘s praising his King. In materials <15>-<23>(Discourse of CheYoung3), CheYoung(處容) was identified as a clown including the aspects of the Sea God and a subject. These various changes in discourse of CheYoung(處容) indicate that HyangGa(鄕歌) had been transmitted and changed not only based upon a HyangGa(鄕歌) lyrics but also based on the macroscopic HyangGa(鄕歌), which is actually a discourse of CheYoung(處容). In an early stage, the character of CheYoung(處容) was the Sea God. Later its character had been changed into a clown who performs in the Royal Court. Therefore, the focus of the background story had been transferred from praising CheYoung(處容)'s virtue to praising king's virtue. Materials from both Koryo(高麗) dynasty and Chosun(朝鮮) dynasty contains 3 horizons of CheYoung(處容)'s character in common. From the beginning the discourse of CheYoung(處容) had not persisted one criterion but permitted various changes, and had tried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In order to go on the transmission of CheYoung(處容), we have to admit its changing in modern days. There have been a lot of works which was reconstructed in modern poem, novel and drama etc. Nevertheless, there has been little interest on researching them. CheYoungGa(處容歌) and its background story have been handed down till now and have survived not in the way of preservation but in the way of letting it change continuously swimming with the current of the times. I think that it is the reasonable researching direction on CheYoung to create a new CheYoung character meeting the needs of the current society and taking it to our research for CheYoung's modern inheritance.

한국어

본 연구는 처용가와 처용 관련 배경설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진위 분별의 차원이 아니라 담론의 차원으로 이해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대개의 연구자들이『三國遺事』의 처용 관련 기사를 토대로 처용의 성격을 단선적으로 규명하려 했지만, 문집에 나타난 처용의 모습은 더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즉, ‘處容’을 龍神으로 보거나 왕의 臣下로 보는 시각, 아니면 한낱 廣大에 불과한 것으로 보는 시각을 처용 관련 배경담에서 찾을 수 있다. 본고에서는 배경담 사이의 간극은 談論의 차이이지 眞僞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전제로 처용 관련 자료들이 ‘처용’을 어떤 층위의 담론에서 형상화하고 있는가를 살폈다. 『삼국유사』 <처용랑 망해사>조 기사를 비롯한 처용 관련 자료들은 크게 세 개의 담론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료<1>~<6>(처용담론1 : 삼국유사 기록 기준)은 처용의 정체를 용신으로 보고 있어 처용의 신성성이 강조되어 있는 반면, 자료<7>~<14>(처용담론2:『고려사』 <악지> 기록 기준)에서는 처용이 왕의 성덕을 찬양하는 모습이 강조되어 신하로서의 모습으로 드러난다. 자료<15>~<23>(처용담론3)는 용신, 신하로서의 모습을 포괄하며 처용놀이의 연희자로서의 모습이 병렬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처용 담론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변이는 향가가 하나의 노랫말을 기준으로 전승, 창작(한역)된 것이 아니라 담론이라는 거시적 향가를 기반으로 전승, 변이되었음을 시사한다. 처음 지방신(용신)으로 출발했던 처용의 성격이 궁중악의 연희자로 바뀌면서 그 배경 설화의 초점도 처용의 덕을 찬양하는 것보다는 왕의 성덕을 찬양하는 쪽으로 바뀌었다. 고려조와 조선조의 자료 공히 처용의 3가지 모습(용신, 신하, 연희자)을 담고 있다. 애초부터 처용 담론은 하나의 기준점을 제공하지 않고 다양한 변이를 허용하면서 새로운 해석과 변용을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처용의 전승이 앞으로 계속 이어지기 위해서는 현대적 변화가 인정되어야 한다. 처용가, 처용배경담을 현대시, 소설, 연극 등으로 새롭게 구성한 작품들이 많이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나 비평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다. 현전하는 처용가, 처용배경담은 원형 보존의 방식으로 전승된 것이 아니라 지속적 변화를 수반하며 그 생명력을 유지해 왔다. 현대 우리 사회에서 필요한 새로운 처용의 모습을 창작해 나가고 이를 연구하는 것이 처용의 현대적 계승의 올바른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시작하는 말
 2. 巨視約 處容 談論의 存在 樣相
 3. 處容 談論의 微視的 分析과 意味
 4. 談論的 接近의 意義
 5. 傳承의 問題를 다시 거론하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경우 Park, Kyung-woo. 연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