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임경업전』 목판본 49장본에 대하여

원문정보

『林慶業簿』の木版本49張本について

이윤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목판본 49장본『임경업전』은 여러 장의 낙장(落張)과 보각판(補刻板)이 섞여 있어서 최초의 모습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 연세대본『임경업전』에는 ‘歲庚子孟冬京畿開板’이라는 간기가 있다. ‘歲庚子’에 대해 연구자들은 1780년, 1840년, 1900년 등의 여러 가지 설을 제시했는데, 2002년에 마쯔바라 타카토시(松原孝俊) 교수가 쓰시마(對馬島)에서『임경업전』 필사본을 발견하여 ‘歲庚子’는 1780년으로 확정되었다. 쓰시마에서 발견된『임경업전』 필사본은, 조선어 통역관으로『상서기문(象胥紀聞)』을 쓴 오다 이쿠고로(小田幾五郞)가 연세대본의 초간본을 보고 1799년에 필사해놓은 것이다. 오다가 필사한『임경업전』을 찾아낸 마쯔바라 교수는, 연세대본의 간행 시기가 1780년이므로, 조선에서 한글 방각본소설의 출판은 1780년 이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이러한 견해를 고소설 연구자들은 대체로 수용하고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연세대본이 방각본이 아닌 관판본(官版本)일 가능성을 얘기했다. 연세대본의 간기에 나오는 ‘京畿開板’의 ‘京畿’가 방각본의 발행소가 아닌 경기감영(京畿監營)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학계에 보고된 방각본 간행소 가운데 ‘京畿’라는 방각본 간행소는 없다. 그리고 경판본 방각본의 간행소는 모두 간행소가 위치한 지역의 동리 이름을 상호로 쓰고 있으므로 ‘京畿’라는 간행소 이름은 일반적인 경판 방각본 간행소의 이름과는 다르다. 앞으로 이 문제에 대한 학계의 논의가 필요하다.

일본어

延世大學中央圖書館に所藏されてある木版本49張本『林慶業傳』は、複数の落張と補刻板が混ざってあるため、その最初の姿を捕らえがたい。この延世大本『林慶業傳』には「歲庚子孟冬京畿開板」という刊記が記されている。「歲庚子」について硏究者達は1780年、1840年、1900年等の様々な説を提示してきたが、2002年に松原孝俊敎授が對馬島にて『林慶業傳』の寫本を発見し「歲庚子」は1780年と確定した。對馬島で発見された『林慶業傳』の寫本は、朝鮮語通譯官として『象胥紀聞』を書いた小田幾五郞が延世大本の初刊本を読み、1799年に筆写しておいた物である。小田が筆写した『林慶業傳』を発見した松原教授は延世大本の刊行時期が1780年であることから、朝鮮におけるハングル坊刻本小說の出版は1780年以前から始まったとみるべきだと主張した。そして、この見解は大概の古小說研究者たちに受容されている。筆者は、本稿において延世大本が坊刻本ではなく、官版本である可能性について論じた。延世大本の刊記に見える「京畿開板」の「京畿」が、坊刻本の發行所のことではなく、京畿監營である可能性が大きいためである。これまで學界に報告された坊刻本の刊行所のうち、「京畿」という坊刻本の刊行所はない。そして、京板本の坊刻本の刊行所は皆、刊行所が位置していた地域の村の名を商號として使っていたため、「京畿」という刊行所の名は一般的な京板坊刻本の刊行所のそれとは違うものである。今後、この問題に対する学界の論議が必要とされる。

목차

국문초록
 1. 서언
 2. 연세대본 초간본
 3. 연세대본의 성격
 4. 결언
 참고문헌
 日文抄錄

저자정보

  • 이윤석 李胤錫. 연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