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주생전(周生傳)>의 사랑, 그 상대적 인식의 서사

원문정보

The love which becomes narration in <Jusaengmn(周生傳)> Narration of the relative recognitionand

김현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s a novel text which is described a relative recognition. describes ‘Love of Jusaeng and Sunhwa[True love]’ and ‘Love of Jusaeng and Baedo[Conditional love]’ complex, these two loves does not rank. Also the love which is conditional is love and is a description sight whose is relative also for the true love to be love. ‘The love of Jusaeng and Sunhwa’ is a true love is the love which destroys an order. This love which destroys an order is opposed in compliance with Baedo when becomes the object, from ‘Love of Jusaeng and Baedo’. Like this narrative opposition is an opposition between of medieval order[ideology and system] and post-medieval intention[desire which destroys an order]. From process of narrative opposition, The high position a medieval order does not become declaration and is not exacted. We makes recognize relatively the dominative ideology of actuality. This is a view of narration of or the is visual other aspect. criticizes ‘betrayal’, and is watching the desire which destroys an order. This is viewpoint that absolutely recognize an actual dominant ideology. The relative recognition of is the base that a novel genre comes into being works. The narrative showdown that the self and the world face tightly each other shall permit another subject to the subject so that it is possible. The reason is as this is possible if text base on relative recognition.

한국어

<주생전(周生傳)>은 ‘상대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서술된 소설 텍스트이다. <주생전>은 ‘주생(周生)과 배도(俳桃)의 사랑’[조건적 사랑]과 ‘주생과 선화(仙花)의 사랑’[진정한 사랑]을 복합적으로 서술하면서, 이 두 사랑을 위계화하지 않고 있다. 조건적인 사랑도 사랑이며 진정한 사랑도 사랑이라는 것이 <주생전>의 상대적인 서술시각이다. ‘주생과 선화의 사랑’은 진정한 사랑이지만 불온한 사랑이다. 이 불온한 사랑은 배도에 의해 대상화되면서 ‘주생과 배도의 사랑’과 대립한다. 이 서사적 대립은 중세적 질서[이념, 제도]와 탈중세적 지향[불온한 욕망] 사이의 대립이기도 한데, 이 과정에서 중세적 질서의 우위를 선언하거나 강요하지 않는다. 현실의 지배이념을 상대화 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중국의 전기(傳奇) 작품인 <곽소옥전(藿小玉傳)>이나 화본(話本) 작품인 <연옥관음(碾玉觀音)>의 서술시각과 다른 면이다. <곽소옥전>에서는 ‘배신’을 비판하며, <연옥관음>에서는 ‘불온한 욕망’을 경계하고 있는데, 이는 현실의 지배이념을 절대화하는 시각이다. <주생전>의 ‘상대적 인식’―그 서술시각은 ‘소설’ 성립의 바탕이 된다. 자아와 세계가 상호 우위에 입각해 대결하는 소설의 서사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주체[세계]를 주체로 용납해야 하는데, 이는 ‘상대적 인식’을 바탕으로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목차

국문초록
 1.
 2.
 3.
 4.
 5.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양 Kim, Hyeon-yang. 명지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