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711년 신묘통신사와 아라이 하루세키[新井白石]의 필담을 통한 상호 소통

원문정보

Communication through Diplomatic Letters between the Year 1711 Shinmyo Diplomatic Envoy[辛卵通信使] and Arai Hakuseki(新井白石)

1711년 신묘통신사와 아라이 하루세키[신정백석]의 필담을 통한 상호 소통

구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diplomatic letters between the group headed by Diplomatic Envoy Jo Tae-eok and Japan’s Arai Hakuseki to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each party understood the other and persuaded the other to accept its opinion. The Year 1711 Shinmyo Diplomatic Envoy was sent on an exceptional mission, prompted by the conflicts caused by the unprecedented and protocol-breaking actions implemented by Arai Hakuseki related to such issues as the Bing-rye-gae-hyeok(reform of welcoming ceremonies for diplomatic envoys from Joseon), the use of the Japanese emperor’s title and the naming of the emperor. In the background of this situation was Arai Hakuseki’s political ambition of reconstructing Japan as a nation of civil administration, with the Joseon Diplomatic Envoy to be used as a tool for realizing his goal. On the other side, Joseon took on the conservative position of maintaining a good relationship, at the level of guarding against another invasion by Japan. Through many meetings, the position of each nation was both understood and rejected by the other in mutual communication. The diplomatic letters which show this process are the Jwa-gan-pil-eo(坐間筆語) recorded on November 3, 1711 and the Gang-gwan-pil-dam(江關筆談) recorded on November 5, 1711. In the Jwa-gan-pil-eo, the Joseon side showed more interest in the theme of the “Ancient Civilization of China” than the music prepared by Hakuseki. By approaching through this theme, Hakuseki emphasizes that Japan is a nation that has been blessed by civilization from ancient times. In the Gang-gwan-pil-dam, discussions begin with the same theme, but the interests of both parties become clear. Hakuseki asserted that Japan was a nation that had not only realized material civilization, but also the way (tao) of China. Jo Tae-eok’s entourage, however, was interested in probing Japan’s political situation. In the latter part of the diplomatic letters, the political intentions of each party are circuitously expressed. Joseon gauged Japan’s inclination to maintain peace, while Hakuseki’s side expressed the intention of friendship, but also made it clear that there would be absolutely no concession to anything violating the principle of equality between the two nations. In short, although there were at times misunderstandings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the diplomats were successful in conveying their intentions and were able to reach points of agreement.

한국어

본 연구는 통신사 조태억 일행과 일본의 아라이 하쿠세키가 필담을 통해 어떻게 서로를 이해하고 자신의 의견을 관철시켰는지 과정을 추적하고자 한 것이다. 1711년 신묘통신사는 예외적인 사행에 속하는데, 아라이 하쿠세키가 추진한 빙례개혁, 일본국왕호 사용, 避諱문제 등 이례적인 의례를 행함으로써 갈등을 빚었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에는 일본을 문치(文治)의 국가로 새로 세우려는 아라이 하쿠세키의 정치적 이상이 있었고, 그 와중에 통신사는 문치를 실현하는 하나의 도구로 이용되었다. 반면 조선은 일본의 재침략을 경계하는 수준에서 우호를 이어가는 수구적인 태도를 견지하였다. 양국의 입장은 여러 차례 만남을 통해 상호소통의 이해와 굴절을 겪었다. 그 과정을 보여주는 필담이 1711년 11월 3일의 필담을 기록한『坐間筆語』와 11월 5일의 필담을 기록한『江關筆談』이다.『坐間筆語』에서는 하쿠세키가 준비한 음악보다는 “중화의 고대문물”이라는 테마가 조선인의 흥미를 끌었다. 하쿠세키는 이 테마를 통해 접근해 일본이 고대부터 문명의 세례를 받은 나라임을 강조한다.『江關筆談』에서는 같은 테마로 대화를 시작하였으나 곧 양쪽의 관심이 분명해진다. 하쿠세키는 일본이 유형의 문물뿐 아니라 중화의 도를 체득한 나라임을 역설하였다. 그러나 조태억 일행의 관심은 일본의 정세를 탐색하는 데 있었다. 필담의 후반부에서는 우회적인 표현을 통해 각자의 정치적 의도를 드러낸다. 조선에서는 일본이 평화를 유지해 갈 의향을 타진하였고, 하쿠세키 쪽에서는 우호의 의지를 표현하면서 양국 대등의 원칙에 어긋나는 일에 대해 절대 양보하지 않을 뜻을 보였다. 요컨대 양국의 외교담당자는 소통 과정에서 오해가 있기는 하였어도 서로의 의도를 전달하는 데는 성공하였고 합의점에 도달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의 통신사 접대 과정
 3. 필담을 통한 상호 소통의 전개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구지현 Koo, Jea-hyoun. 日本 慶應義塾大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