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모애착이 여고생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자기침묵과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Effect of Maternal attachment on the Loneliness Among Korean girls' High School Students - With the Mediation of Self-Silencing and Internalized Shame -

이지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maternal attachment, self-silencing , and internalized shame influence loneliness among Korean girls' high school students. It also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silencing and the internalized shame on loneliness.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423 female students attending preparatory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For data proces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object relation level, stress coping strategy, ambivalence over emotion expressiveness, and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assess the mediation effect of self-silencing and internalized sham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ower the students' maternal attachment level was, the more they exeperienced lonelines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mong maternal attachment, shame, and self-silencing. Second, through implemen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shown that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maternal attachment level was influencing loneliness, self -silencing and internalized shame had a part mediation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rls' high school students' loneliness is determined by the factors encompassing those of maternal attachment level and the self-silencing and internalized shame. Especially with regard to maternal attachment level, the factor such as self-silencing and internalized shame played an important mediation role. Therefore, in order to help girls' high school students to reduce loneliness , counselors must consider self-silencing and internalized shame as well as their maternal attachment.

한국어

청소년기는 소외, 고독, 고통 그리고 외로움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외로움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모애착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침묵과 내면화된 수치심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해보고자 했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여고생 423명이었다. 자료 처리는 모 애착, 수치심, 자기침묵, 외로움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자기침묵과 수치심이 모애착과 외로움 변인들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는지 Baron과 Kenny(1986)의 절차를 따라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 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침묵 수준, 수치심 수준, 외로움 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기침묵과 수치심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유의한 높은 정도의 정적상관을 보였고, 외로움과는 중간 정도의 정적상관을 보였다. 즉 자기침묵 수준이 높을수록 수치심이 높으며, 자기침묵 수준이 높을수록 외로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 애착이 여고생의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침묵과 수치심이 부분 매개를 보였다. 분석결과에 대해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애착과 청소년기외로움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역할
  2. 수치심과 자기침묵, 외로움의 관계
  3. 여성의 수치심과, 자기침묵, 외로움의 관계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 분석
 IV. 연구결과
  1. 주요 변인의 평균 및 표준편차, 변인간 상관관계
  2. 모애착과 외로움간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3. 모애착과 외로움 간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지연 Lee, Jee-yon. 인천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