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모바일광고의 효과과정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research study on processing effects and mobile advertising

양영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ocessing effects toward mobile advertising. Theoretically, based on Ducoffee(1996) web advertising's attitude model,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mobile advertising as in the web. This study suggests an overall model, using supplemental research in Korea, but it is in part only. Variables considered include information, pleasure, irritation apart from personalization, ubiquity of special mobile advertising and media-tion's variable is trust and commitment, is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d in the result. Questionnaires have been gathered from 205 university students, the primary target group of mobile advertising. In preference to the inspection of hypothesis model, the research explores the concept of question item, since the path analysis research method of finding mechanism relation was used. This result revealed that the proposed model fits with GFI=.96, NFI=.93, CFI=.95. This study’s results show that information, pleasure, personalization, and irritation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rust and and commitment, ubiquity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it. Trust and involvement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d. Advertising attitude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brand attitude. Brand attitud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d. The overall advertising model is significant, when the effect process of mobile influence on the diversity variable is researched and considered.

한국어

본 연구는 모바일광고의 효과과정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Ducoffee(1996)의 웹광고 태도모델은 웹에 대한 태도모델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와 비슷한 모바일광고에 적용하여 보았다. 국내에서도 이를 보완한 연구가 있었으나, 부분적이었기 때문에 보다 모바일광고 효과과정의 종합적인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Ducoffee의 모델에서 제시된 정보성, 오락성, 성가심 외에 모바일광고의 독특한 특성이 개인성과 편재성을 새로운 요인으로 제시하였고, 중재변인으로는 신뢰와 몰입, 그리고 광고효과 과정에는 최종적으로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의 변수이었다. 모바일의 주 타겟인 대학원생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가설모델의 검증에 앞서서, 측정문항의 구성개념을 파악 하였고, 그 다음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각 요인의 직간접 가설적 모델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GFI=.963, CFI=.955, NFI=.936, RMSEA=.049). 정보성, 오락성, 개인성, 성가심은 신뢰와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편재성은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신뢰와 몰입은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광고태도는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브랜드태도는 구매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광고는 [상호작용성의 구성요인→신뢰, 몰입→광고효과]의 효과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광고의 효과과정을 점검할 적에는 정보성, 오락성, 성가심, 개인성, 편재성 외에 신뢰와 몰입 그리고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의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며, 종합적인 광고효과 과정 모델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목차

초록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1) 광고 효과의 모델
  2) 가설의 설정
 3. 연구방법
  1) 조사대상
  2) 변인의 측정
  3) 분석방법
 4. 연구결과
  1) 제안된 연구모형의 검증
  2) 가설 검증결과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영종 Yang, Young Jong. 한양사이버대 광고홍보영상학과 교수, 경영학박사(Professor, Dept. of Advertising, Hanyang Cyber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