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리더십 상황 이론에 대한 선교적 고찰

원문정보

Missiological Reflections on Situational Leadership Theory

김광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wadays, in the area of leadership which is considered as the major research topic in most of social science area, Christianity has supplied lots of implications on leadership based on its own concept of community. Particularly, the Bible is the major resource for the various leadership situations. Also, the area of missiology has been trying to explain the missiological situations through the perspective of leadership, and to develop the contextualized strategies for its leadership.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leadership by Tannenbaum, the leadership is “the interpersonal influence, exercised in situation and dir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 toward the attainment of a specified goal or goals.” (Tannebaum, Robert & Weschler, Irving R. & Massarik, Fr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 A Behaviorial Science Approach (New York: McGraw-HillBook Company. 1961.) 24.) Especially, this article is focused the variables of situation for leadership effectiveness in the perspective of missiology. By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just focusing on the personal traits of a leader, the essence of the modern theory of leadership has been shifting toward the environmental condition, that is, situation, which is usually called as the situational leadership theory. The situational leadership theory is the one that tries to understand the leader’s traits, behaviors, and maturity as the cultural variables. Among many situational leadership models, Hersey-Blanchard Situational Leadership Model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leadership ones, which considers the situational factors as the maturity of the followers. It suggests the four kinds of situations based on the levels of the followers’ maturity, and also the four proper or contextualized styles of leadership according to each four situations, by matching and controlling both the task-oriented and the relation-oriented style of leadership. Additionally, Contingency Model, which has been devised by Fiedler, is one of the most reliable leadership models, is able to be well applied to the cross-cultural missiological leadership situation. As the other situational factor, the situation favorableness or situation control can be evaluated as the following three components: 1) leader-member relations, 2) task structure, and 3) position power. In brief, those three managerial components can decide the situation control, which also can decide the effectiveness of leadership. And Trinadis has tried to convert those components into cultural variables that Hofstede early suggested, in order to apply the situational leadership theory to the cultural dimension, which can be so useful for the missiological area. The purpose of the leadership research i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leadership. And its effectiveness is much dependent upon the culture. Particularly, the effectiveness of cross-cultural leadership must ne more culturally sensitive. Thus, this article is to try to approach to the situational leadership theory in the cultural or missiological dimension through Triandis’ cultural variation. If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n missional leaders or the candidates show the high task-oriented style of leadership, it is recommended for the leaders to be relocated onto the proper mission fields according to the situational leadership model. In addition, the models for supplying more various styles of leadership for each situation, needs to be developed. This will be the new approach to the missiological strategies by the concept of leadership.

한국어

오늘날 거의 모든 분야에서 관심을 갖고 다루고자 하는 영역인 리더십에서 특히 기독교는 일찍이 공동체성을 전제로 한 여러 리더십에 대한 암시를 제공하여 왔으며, 성경은 여러 가지 리더십 상황을 보여 주고 있다. 이어서 선교신학 분야에서도 리더십이란 주제로 여러 선교적 상황을 설명하고 있으며 상황화된 리더십 전략을 개발하고 있다. 타넨바움(Tannenbaum)은 리더십을 이렇게 정의한다. “리더십이란 사람과 관계에서 영향력 전달 과정으로 특정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어떤 상황에서 행사되는 인간 간의 영향력이다.” 여기서 상황을 주목하는 리더십 상황 이론을 선교문화적인 측면에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리더라는 개인에게만 집중한 패러다임을 극복하고 환경적 요소, 즉 상황에 대하여는 리더십 상황 이론(Situational Leadership Theory)이 등장하면서 리더의 특성과 행동 유형 등도 상황 혹은 문화의 변수이며 팔로워의 특성과 성숙도 등도 역시 상황의 의존적 변수로 이해하기 시작하였다. 리더십 상황 이론 중 Hersey-Blanchard Situational Leadership Model은 중요한 모델로 인정받고 있는데, 이 모델의 상황 변수(situational factor)는 공동체 구성원의 성숙도(maturity of followers)로서 그 성숙도가 가장 낮은 제1단계에서 제4단계에 이르기까지 4가지의 상황과 그에 맞는 상황화된 리더십 스타일을 제시하고 있다. 상황 이론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는 피들러(Fiedler)의 Contingency Model은 상황 이론 중에서 신뢰성이 매우 높은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모델은 여러 문화 상황에서도 신뢰할 만한 것으로서 문화인류학적 선교 상황에서의 리더십 접근에 유용한 근거가 된다. 리더십 상황을 위한 리더의 상황 통제성(situational favorableness)은 3가지 요소로 평가될 수 있다. ① 리더와 팔로워(Follower) 간의 관계(leader-member relations), ② 업무 구조(task structure), ③ 직위 권력(position power)이다. 그리고 이런 요소가 리더십 효율성을 결정짓는다. 그리고 ① 리더와 팔로워 간의 관계(leader-member relations)는 ‘개인주의 문화’(individualism)와 ‘집단주의 문화’(collectivism)로, ② 업무 구조(task structure)는 ‘불확실성 회피도’(the avoidance of uncertainty)로, ③ 직위 권력(position power)은 홉스테드(Hofstede)의 권력 거리(power distance) 개념으로 트리앤디스(Triandis)는 경영학적 패러다임의 contingency model을 홉스테드의 문화인류학적인 패러다임으로의 전용을 시도하였다. 리더십 연구의 목적은 결국 리더십의 효율성(effectiveness)을 높이려는 것이다. 리더십 효율성은 문화 상황에 가장 의존적이다. 특히 타문화권(cross-cultural) 선교 리더십의 효율성은 훨씬 더 문화적으로 민감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현대 리더십 이론 체계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리더십 상황 이론을 문화적 차원으로 이해하려고 한 것으로서, 타문화권 선교 리더십의 상황화 혹은 효율성의 증대를 모색해 보려는 것이다. 특히 한국 기독교 사역자들이 대체로 높은 업무 지향성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면, 그들의 선교 리더십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적절한 상황화와 선교지에 대한 리더 배치 전략이 중요할 것이다. 그리고 리더십 상황 이론의 리더십 스타일 구분을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는 상황 모델을 문화인류학적 그리고 선교학적 차원에서 개발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선교 전략 패러다임에 적절한 선교 리더십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목차

논문 초록
 I. 들어가는 말
  A. 리더십의 중요성
  B. 리더십의 정의와 이론 체계
 II. 논하는 말
  A. 리더십의 주요 이론
  B. 리더십 상황 이론(Situational Leadership Theory)의 이해
  C. Hersey-BIanchard Situational Leadership ModeI
  D.. Contingency Model
  E. 리더십의 선교적 상황 변수
  F. 한국 교회의 선교적 리더십에 대한 제안
 II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광건 Kwang Kun Kim. 서울장신대 교양학부 조교수와 기독교 리더십 연구소 소장, 극동방송 '열린광장'을 진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