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방 이전 교회 · 국가 관계의 구조적 변화 연구 - 개신교회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Church-State Relation before the Korean Liberation. (focused on the Protestant Church)

정병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ide structural changes of the church-state relation before the Korean Liberation in 1945 and to search how the Protestant Church mission had been influenced by the relations. In the Choseon society, the oppressed Roman Catholic church appealed to the France power for help in order to acquire the freedom of religion. However it added an extra weight on the oppression and deepened the church’s negative image more in the country. The Protestant missionary enterprise could be open because the Neo-Confucian political system of the country was collapsing by the pressures of the foreign powers. King Kojong and the Reformers party recognized the Protestant church as the means of modernization, and the Protestant church revealed its self-image as a patriotic religion. However, when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combined the Independence Club’s motion, aiming at a political reform, the new pro-Russian government began to change its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church. At this historical moment, the missionaries tried to make the church apolitical by declaring the separation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Even though it was to protect the church from the political crises and to keep the religious purity, the contents of the declaration were insufficient. The missionaries prohibited the Korean church from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movement. However they did teach to the Korean church leaders the real meaning of the church-state separation, which is to protect the religious freedom from the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 So the declaration exercised a great deal of negative influence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urch-state relation hereafter. In this period two types of religious belief were embodied in the Korean church: one was the otherworldly-oriented personal-salvation style; the other was the social action style for the rescue of the nation. After the Meiji Reformation, the religious policy of Japan was constantly to subordinate all the religions to the emperor ideology. From 1905 to the mid-1930s Japan and the missionaries maintained the friendly relationship in Korea. Japanese government bestowed to the missionaries some special supports and privileges like extraterritoriality in order to control the Korean church, but it severely oppressed the Christian national movement. At the end of 1930’s Japan and the missionaries became hostile due to the enforcement of the Shinto-shrine worship. After the Presbyterian Church decided to adapt the Shinto-shrine worship in 1938, the majority of the Christian leaders walked on the way of a religious compromise and pro-Japanese. Only small groups of Christians witnessed their faith at the cost of their life. It was another Catacomb type in the church-station relation.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전의 한국 교회사 안에 나타난 교회·국가 관계의 다양한 구조적 변화를 살펴보고 그것이 한국 개신교 선교에 끼친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다. 조선 사회는 주자학에 기초한 ‘종교 국가-종교 정치’ 유형의 정교 일치 사회였다. 조선 사회 안에 전래된 천주교회는 박해를 받으면서 ‘카타콤 유형’의 교회·국가 관계를 형성했다. 천주교회는 선교의 자유를 획득하기 위해 ‘외세의 힘’에 의존하려 했고, 그것은 더 큰 박해를 가져왔으며 부정적인 이미지를 심화시켰다. 선교는 늘 물리적 힘을 사용하고 싶은 유혹에 주의해야 한다. 개신교 선교는 열강들의 조선 침탈로 인해 조선 정부의 ‘종교 국가-종교 정치’ 구도가 붕괴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고종과 개화파 정치인들은 개신교회를 근대화의 수단으로 인식했고, 개신교회는 충군애국의 종교 이미지를 만들면서 우호적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한국 교회가 독립협회 운동과 결합하여 정치적 변혁을 지향하게 되자, 정부는 교회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에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선교사들은 정교 분리를 선언하고 교회의 비정치화를 위해 노력했다. 정교 분리 선언은 정치적 위험으로부터 교회를 지키고 신앙의 순수성을 보호하려는 것이었지만 그 내용은 불충분했다. 선교사들은 한국 교회의 정치 참여를 금지하면서 국가의 간섭으로부터 ‘종교의 자유’를 보호하려는 정교 분리의 본질적 취지를 가르치지 못했다. 그 결과 선교사들의 정교 분리 선언은 향후 한국 교회의 교회·국가 관계 이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 시기 한국 교회 안에는 내세 지향적 개인 구원형 신앙과 현실 참여적 민족 구원형 신앙이 구현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신도 ‘종교 국가’인 일본은 모든 종교를 천황제 이데올로기 아래 종속시켰다. 1905년 을사늑약 이후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 일제와 선교사들은 우호적 관계를 유지했다. 일제는 한국 교회를 통제하기 위해 선교사들에게 특혜를 주었으나 기독교 민족 운동에 대해서는 가혹하게 탄압했다. 이것은 한국 교회가 선교사에게 더 의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1930년대 미일 관계의 악화, 신사참배 강요와 반대 등으로 인해 일제와 선교사들은 적대적이 되었다. 1938년 장로교 총회의 신사참배 가결 이후, 다수의 교회 지도자들은 신앙적 타협과 친일의 길을 갔고, 오직 소수의 신앙인들만이 이교적 종교 국가의 박해를 견디는 카타콤 유형의 교회·국가 관계를 형성했다. 결론적으로 해방 이전 국가·교회 관계는 다양한 변화를 보여 주었다. 유교 국가 조선 안에서 천주교회의 카타콤 유형, 구한말 정부와 개신교회의 우호적 협력 관계, 신도 국가인 일본 통치 하에서 선교사들과 정부의 협력, 일제에 대한 기독교 민족 운동의 저항, 신사참배에 대한 교회의 굴복과 카타콤 유형이 나타났다.

목차

논문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초기 천주교회의 교회ㆍ국가 관계
 III. 주한말(舊韓末) 개신교회의 교회 · 국가 관계(1884-1910)
 IV. 일제하 개신교회의 교회ㆍ국가 관계(1910-1945)
 V.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병준 Byung Joon Chung. 한남대학교 기독교학과 초빙 교수(역사신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