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一般論文

담헌 홍대용의 <대학문의(大學問疑)> : 북학파의 『대학』이해의 일단(一端)

원문정보

Dam-Heon Hong Dae Yong's <DaeHakMunEui> : A part of the BukHak School's Understanding on The Great Learning

안외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his understandings about the The Great Learning centering on the of the founder of the YiYongHuSaeng School (利用厚生學派: A school who pursued prosperous economy and welfare of people) orthe BukHak School(北學派: A positive school that pursued mercantilism) from the Joseon Dynasty, Dam-Heon Hong Dae Yong (1731-1783). 1) From what is indicated in the , his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annotations from DaeHakJangGuDaeJeonJipJu (󰡔大學章句大全集註󰡕: A book that edited different phrases from the Great Learning into chapters and paragraphs), Questioning of the Great Learning󰡕, and 󰡔JuJaUhRyu (朱子語類: A book of Confucian literature written by Yeo Jung Deok󰡕 of Zhu Xi who wa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Neo-Confucianism in the Song Dynasty. 2) Acknowledging entirely the arguing points of Zhu Xi, he is taking a critical position in a way that partial doubts are divided into seven chapters and questioned. 3) For the main characteristic and direction of the questioning, he is estimating that Zhu Xi only stressed the 'means' and 'interior' out of the world of 'means and ends' and 'interior and exterior' in Zhu Xi's recognizing and handling cases; instead, he emphasized putting equivalent value on the 'ends' and 'exterior' as well. 4) In fact, such questions raised partially were misconceived since they were not carried out through profound understanding nor systematic logic expansion of what Zhu Xi insisted. 5) Despite this, at the point where Neo-Confucian thoughts were fixed and weakened only with its form left in the late Joseon Dynasty, his perspective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that the 'ends' and 'exterior' should be as equally valued as the 'means' and 'interior' by examining through the core text of the Neo-Confucianism, The Great Learning has its significance in his YiYongHuSaeng dogma that says politicians, by all means, should provide the ruled with economic convenience and welfare and this is their very right virtue.

한국어

이 논문은 조선의 이용후생학파(利用厚生學派)의 비조(鼻祖) 담헌(湛軒) 홍대용(洪大容, 1731-1783)의 <대학문의(大學問疑: 대학에 관한 의문을 질의함)>를 중심으로 그의 󰡔대학(大學)󰡕에 관한 인식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1) <대학문의>를 토대로 보건대, 홍대용은 주로 송대 주자학의 대표학자인 주희(朱熹)의 󰡔대학장구대전집주(大學章句大全集註)󰡕, 󰡔대학혹문󰡕, 󰡔주자어류󰡕에 나타난 주석(註釋)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2) 주희의 논지에 대해 전체적으로는 인정하면서 부분적인 의문에 대해서만 7개 장(章)으로 나누어 질의를 하는 형식을 빌려 비판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3) 질의의 주요 성격과 방향은 주희가 사안(事案)을 인식하고 처리함에 있어 ‘본말(本末)’과 ‘내외(內外)’의 세계 가운데 ‘본(本)’과 ‘내(內)’만을 강조한다고 평가하면서 대신 그는 ‘말(末)’과 ‘외(外)’도 그것들과 동등하게 중요시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4) 사실 이러한 문제제기들은 주희의 주장을 깊이 있게 이해하거나 체계적인 논리전개를 통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기에 오해한 측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5)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자학적 사유가 고착적이고 형해화되어가던 조선 후기 시점에서 주자학의 핵심 텍스트인 󰡔대학󰡕 검토를 통하여 ‘본(本)’과 ‘내(內)’만이 아니라 ‘말(末)’과 ‘외(外)’ 또한 동등하게 중요시되어야 한다는 그의 경학관(經學觀)은 정치가란 모름지기 피치자의 이용(利用)과 후생(厚生)을 제공하는데 있고, 이것이 곧 정치가의 정덕(正德)이라는 그의 이용후생설과 맞닿는 지점이라는 의의를 지닌다.

목차

<논문 요약>
I. 서론
II. <대학문의>에 대한 배경적 이해
 1. 일화를 통해서 본 <대학문의>의 배경 이해
 2. 『담헌서』내에서의 <대학문의> 위치
III. <대학문의>의 분석
 1. <대학문의>의 형식, 구성 및 참고자료
 2. <대학문의>의 내용
 3. <대학문의>의 인식론적 성격
IV.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외순 Ahn, Woe Soon. 한서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